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현실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4호
찾아가고 있는 중이지. 그런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즉 키스트 안을 거닐고 있자니
꼭
어디선가 스틸로가 나타날 것만 같아. 하하.무더위를 뚫고 드디어 연구실에 도착! 반갑게 맞아 주시는 박사님께 인사를 드리고 본격적으로 취재를 시작했어. 먼저 가상현실이 무엇인지 여쭤 봤어.실제 공간에 ... ...
전기가 흐르는 누드김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않잖아요? 그런데 이번에 개발된 나노전선은 코팅된 바깥쪽으로만 전류가 흐른답니다.
꼭
전선을 뒤집어 놓은 것처럼 말이지요. 하하하~, 그래서 누드김밥이라고 비유한 거예요.신기하면서도 재미있네요. 그런데 이번에 개발된 나노전선과 나노튜브는 어디에 쓸 수 있는 건가요? 실제 김밥이 아니니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없다. 또한 극지방은 다른 곳보다 얼음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물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자원이기 때문에 극지방에 기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달 먼지 콘크리트로 집을 짓는다달기지 건설에 필요한 재료를 지구에서 가져가려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돈이 많이 든다. 만약 달에서 직접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해서 자란다. 그래서 이 감로가 닿은 잎에는 검정곰팡이가 자라게 되고, 그 모습이
꼭
그늘이 진 것처럼 새까맣게 되어 버리는 그을음병이 생기게 된다.그을음병이 심해지면 잎이 광합성을 하지 못해 결국 말라죽게 된다. 특히 꽃매미는 다른 곤충에 비해 덩치가 큰 편이고, 떼를 지어서 살고 있기 ... ...
반갑다, 과학기술위성 2호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공개된 과학기술위성 2호는 한 대가 아니라 두 대였어요. 발사가 실패할 때를 대비해
꼭
같은 기능을 가진 위성 두 대를 만들어 놓은 거지요.우리 손으로 만들어 우리 땅에서 처음으로 발사될 과학기술위 성 2호. 7월 말 성공적인 발사 소식이 들려오길 기대해 봅니다 ... ...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나눈다면 수학이 더욱 즐거워질 거야. 부모님도 체험 활동을 통해 수학이 일상 생활에
꼭
필요한 학문이란 걸 아신다면 수학 공부를 더욱 격려해 주실 거야.★★★ 선생님과 함께지금까지 수학 수업이 혼자서 수학 문제를 푸는 경쟁적인 분위기였다면 협동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분위기로 바꿔 보는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일 년의 길이인 365일이 29.5일의 배수가 아니라서 12달이
꼭
일 년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나중에 이런 오차가 쌓였을 때 음력이 계절과 전혀 맞지 않는 일이 생깁니다.29.5일×12달=354일음력으로 한 달이 12번 모이면 일 년인 365일에서 11일이 모자랍니다. 그래서 약 3년에 ... ...
차세대 나노소자용 ‘반도체 나노결정 도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상용화가 한 걸음 가까워졌다.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반도체 나노소자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한 ‘반도체 나노결정 도핑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은 10년간 나노기술 분야에서 풀리지 않는 숙제였다.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팀은 반도체 나노결정의 핵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 ...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다윈을 따라서’의 권영인입니다. 내일은 이곳 시간으로 11월 3일. 탐사를 시작한 지
꼭
390일째 되는 날이자 목적지 갈라파고스를 향해 출항하는 날입니다. 예상되던 허리케인이 소멸해 예정일인 7일보다 조금 일찍 출항합니다. 우리 세 사람은 내일 아침 9시 간단한 출항식을 갖고 10시 ... ...
서울대 논술 어떻게 대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어딘가에서 봤음직한 소재들도 간간히 보인다. 물론 그러한 소재들이 등장했다고 해서
꼭
관련 배경지식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제시문이나 논제의 형식 으로 주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8학년도 서울대 정시 자연계 논술처럼 물리 II를 공부하지 하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출제된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