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소리를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원하는 소리가 다르듯
나라
별로 선호하는 소리도 따로 있다. 일본 사람들은 우리
나라
에 비해 조용한 청소기를 좋아한다. 외국에서 인기를 끈 제품을 수입해도 무조건 히트칠 수 없는 까닭이 소리에도 있는 셈이다.소리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그 소리가 갖는 특성을 파악하는 일이 첫째다. 이 교수는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부화지까지도 찾아온다고 한다 이 때문에 송어·연어와 같은 어종은 그 하천이 있는
나라
가 어획의 권리를 가진다는 주장이 국제 해양법 상에서 제기되고 있다화성의 양극에서 볼 수 있는 희고 빛나는 부분 이른 봄 화성에서는 극을 중심으로 하여 큰 극관이 위도 50˚근방까지 퍼져서 빛난다 봄부터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토대로 계산한 결과 한 사람이 한 달 동안 남긴 탄소발자국은 평균 375kg이었다. 우리
나라
전국민이 1년동안 배출한 양으로 어림하면 1억8000만톤에 이른다.이제 자신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며 그동안 남긴 탄소발자국을 돌아볼 때다. 그리고 서로에게 물어보자. 당신의 탄소발자국은 얼마입니까 ... ...
여인의 초상 제8화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위로치곤 고약하군. 지구인이 전부 야후라고 해도, 픽병에 걸린 대통령 야후는 나 하
나라
오. 위로가 필요할 때 T는 무얼 하오?”“밤바다로 가요.”“밤바다? 왜 하필 밤바다요?”“하염없이 어둠을 보려고요. 철썩철썩 치는 파도 소리가 꼭 내 약한 마음을 꾸짖는 것 같기도 하고, 기대하지 않는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생각이다. 북태평양을 지난 해류가 북적도, 쿠로시오, 대만 해류로 연결되면서 우리
나라
에 영향을 준다는 것. 한국해양연구원은 해양연구센터를 거점으로 해양 환경 변화에 대응할 중장기 전략을 준비 중이다. 부가가치 높은 흑진주 양식 지금 우리 과학자들은 미크로네시아의 푸른 바다에서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합당한 시간을 쓰려면 서울을 통과하는 동경 127°의 표준시를 써야 하지만, 다른
나라
와 30분 차이가 나는 표준시를 쓰기는 불편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는다.위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일이 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중국과의 관계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았다. 반대로 현재는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통해 얻은 이익은 줄기세포은행과 공유해야 한다.“배아줄기세포주를 만드는 데는 우리
나라
가 여전히 세계 최고수준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세포주만 44개입니다.”정형민 교수는 이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국내 배아줄기세포 연구자 대부분이 외국에서 줄기세포를 분양받아 쓰는 현실이 안타깝다.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않다”고 말했다.가끔은 얼굴만 보고 선택한 상대에게 배신당하기도 한다. 선거는 한
나라
의 지도자를 결정하는 일이기에 잘못된 선택은 상상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 말콤 글래드웰의 ‘블링크’란 책에는 미국의 29대 대통령인 워런 하딩의 얘기가 실려 있다. 그는 보는 사람을 한눈에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지름길”이라며 “2008년 고산 씨가 18가지 과학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돌아오면 우리
나라
우주개발에 대한 국제적 위상도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셰이크 무스자파 e메일 인터뷰 우주인에 지원하게 된 동기는?10살 때부터 우주인을 꿈꿨다. 밤하늘을 보면서 지구 ... ...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했다. 면역에 대한 연구로 1908년 노벨상을 받았다.1875년 5월 20일미터법 파리서 조인
나라
마다 단위가 달라 불편했던 시절, 세계의 과학자들이 파리에 모여 국제 표준인 미터법을 만들었다. 이 때 1m는 지구 자오선의 4만분의 1로 정했다. 현재 1m는 크립톤이라는 원자가 내뿜는 빛의 파장을 이용해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