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지구야 돌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만들어지는 과정을 그대로 재현해내는 것이 목표거든.내 뒤태, 아니 속태(!)를 닮은 이 ‘
인공
지구’의 이름은 바로 ‘다이나모3m’야. 미국 메릴랜드대 물리학과 다니엘 래이스롭 교수가 10년에 걸쳐 만든 실험기구지. 처음엔 지름 20cm에서 시작해 점점 커다란 모형을 만들기 시작했어. 만약 다이나모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풀어서 이해하는 거지. 시리는 음성인식 기술을 넘어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반응하는
인공
지능 서비스라고도 볼 수 있어.아직 사람의 말을 다 받아들일 수 있는 음성인식 기술은 개발되지 않았단다. 하지만 정해진 문장이나 제한된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정확성이 높아져 상당한 수준까지 ... ...
아리랑2호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그래도 우리는 저 비행기들을 타고 5대양 6대주를 누빈다. 중동 바레인에서 두 번째로 큰
인공
섬인 두랏 알 바레인은 면적이 2000만m2에 달하며 모두 13개의 섬으로 이뤄져 있다. 6개의 환초를 포함해 5개의 물고기 섬, 2개의 초승달 섬이다. 그러나 우주에서 보니 마치 아기 욕조에 떠 있는 작은 모형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자연 둠벙에 특별히 장점도 단점도 없었다”고 밝혔다.하지만 생물은 차이가 났다.
인공
둠벙에서 채집된 개체수가 2009년에 비해 1.5배가 늘었다. 특히 2009년에 비해 기온이 1.7~4.5℃ 낮아 자연 둠벙마저 개체수가 줄었던 것을 생각하면 놀라운 수치다. 김 실장은 “생물상이 어떻게 변하는지, 얼마나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눈이 내리는 것도 전 같지 않다. 융프라우행 산악열차 창밖으로 보이는 스키장마다
인공
제설기가 놓여 있는 모습이 안타까웠다(12월 중순인데도 개장하지 못한 스키장도 있었다). 빙하가 녹으면 강물이 범람해 예기치 못한 대홍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언젠가는 사람이 마시거나 사용하는 물이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첫 번째 게놈 분석 대상은 DNA 구조를 규명한 것으로 유명한 제임스 왓슨이었고, 이어
인공
생명을 만든 것으로 유명한 크레이그 벤터가 나섰다.주변 사람들은 곱게 보지 않았다. 이미 생명과학계의 저명인사들이 유명인들의 게놈 분석과 공개를 비판했다. 벤터의 라이벌인 초파리학자 마이클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때문에 밤에도 낮처럼 무척 밝아요. 밤하늘에 떠 있는 별도 잘 보이지 않지요. 과도한
인공
빛 때문에 생기는 문제들을 빛공해라고 해요. 필요 이상의 빛 때문에 눈이 피로해지고, 심하면 호르몬 분비에 문제가 생겨서 수면장애나 성장장애가 나타나기도 해요. 또한 밝은 가로등 밑에서 자라는 벼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컴퓨터 안에서 키우는 게임이 있다. 오래전에 나왔던 다마고치나 진화의 원리를 도입한
인공
생명 게임인 스포어가 그런 예다. 그런데 학습에 이용할 수 있도록 비슷한 게임을 개발한 사람이 있어 황당맨이 찾아갔다.김성하 한국교원대 생물교육과 교수는 가상으로 식물을 키우는 학습용 프로그램을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지만 2011년 5월 과학지 ‘네이처’에 논문 한편이 발표되면서 상황은 역전된다. 주
인공
은 우주에 떠 있는 천체가 아니라 아주아주 작은 전자였다. 전자는 이제까지 관측한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더 완벽한 구 모양이었던 것이다.어느 정도냐 하면 완벽한 구에서 0.000000000000000 000000000001cm, 그러니까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꼬리지느러미는
인공
근육으로 제작했다. 쌍안정성을 가진 소재는 반응속도가 빨라
인공
근육으로 개발하면 유용하다.][조규진 교수팀은 파리지옥의 잎처럼 쌍안정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해 로봇을 개발했다. 로봇의 잎이 완전히 닫히는 데 0.12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