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않고 이어지는 숫자에 매력을 느꼈다고 했다. 동아리 지원서에 ‘$π$의 소수점 이하 100자리를 써 보시오’, ‘3월 14일은 무슨 날일까(화이트 데이 제외)?’ 같은 문항을 만들기도 했다.3.1415926535897…. 그렇게 셋이서 처음으로 시작한 활동은 동아리 이름이기도 한 $π$의 소수점 이하 자리를 외우는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해서 마블바라고 부르는데 마치 소고기 마블링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런 지층이 100km 이상 길게 이어져 있다. 필바라의 암석 중에는 35억 년 전 편평하게 쌓인 현무암이 오랜 기간 사방에서 밀려드는 압력에 의해 수직으로 선 것이 있다. 고온 고압의 환경 때문에 광물질이 재배열돼 변성암이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도전장을 내민 TV가 있었으니, 바로 양자점 TV입니다. 양자점은 지름이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정도로 작은 나노입자로 구성된 반도체입니다. 빛을 비추면 나노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다시 발산하죠. 양자점 TV는 이런 나노입자의 크기를 다양하게 만들어 아주 섬세한 색상을 ...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그가 베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소설, 두 가지가 독립적으로 작성됐을 확률은 대략 100만 분의 1 정도라고 생각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머로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여기까지다. 문학계 전문가들이 이 확률을 토대로 진짜 표절 여부를 가려내야 한다 ...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명이 목숨을 잃었다(이런 실제 사례를 봤을 때 탄저균 10kg을 대도시 상공 위로 살포하면 100만~300만 명이 사망한다는 일부 언론의 추정은 과장된 면이 있다). 미국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취지로 다양한 대응전략을 세웠다. 이번에 배달 사고를 낸 주한미군의 ‘주피터 프로그램’도 그 중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새로 개발한 로봇의 성능을 실험하고 적합한 DRC 전략을 짜기 위해 한국에서 모든 미션을 100차례 이상 연습했다. 이것도 부족해 현지에서 환경이 달라질 것에 대비해 3주 이상 전지훈련을 거쳤다. 시합 현장에서도 최소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미션을 수시로 시행했다. 연습장과 달라진 환경에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정도였어요. ‘1보’는 사람이 두 발을 모두 한 걸음씩 움직인 거리로 약 1.2m를 말합니다. 100보면 120m 정도가 됩니다. 실제로 성벽을 따라 걷다보면 구조물이 120보~140보(144m~168m)의 간격으로 배치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이를 화성 전체로 확대해, 성곽 위의 모든 공격시설을 중심으로 원 모양의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있고, 비말이 묻은 물건, 매개물을 통해 전염될 수도 있다. 문제는 지름이 5μm(1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인 아주 작은 비말도 존재한다는 점이다. 바로 ‘에어로졸(aerosol)’이다. 에어로졸은 병원 내에서 인공기관지 삽관 등 시술이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데, 입자가 작고 가벼워 공기 중에 떠다닐 수 ... ...
- 소프트 로봇, 개미 산 채로 집어 들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개발됐다. 미국 아이오와주립대 김재윤, 조인호 교수팀은 지름이 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단위인 특수한 튜브로 로봇 촉수를 개발해 가슴둘레가 400μm인 개미를 다치지 않게 들어 올리는 데 성공했다.연구팀은 마이크로튜브가 공기를 넣으면 펼쳐지고 빼면 돌돌 말리는 성질을 이용해 ...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통해서 EGF나 FGF가 통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의문은 쉽게 가시지 않는다. 단백질은 100개 가까이 되는 아미노산들이 상호작용으로 연결된 거대한 구조물이다. 이 구조가 조금이라도 바뀌면 단백질은 그 특성을 잃는다. 단백질이 pH나 온도에 따라 쉽게 변하는 것도 구조가 바뀌기 때문이다. 그런데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