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호"(으)로 총 3,4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멸종위기 못친소 사라져가는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0531
- 안녕? 난 저 깊은 바다에 사는 블롭피시야. 지금 막 ‘멸종위기 못친소’ 프로젝트의 투표 결과가 발표됐다고 해서 후보들이 모였어. 과연 누가 1등을 차지했을지 궁금하지? 그런데 말야, 사실 여기 모인 못친들이 결과 발표에 앞서 각자 할 얘기들이 있다고 해. 먼저 우리 얘기 좀 들어 볼래?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1호(2016년06월01일 ...
- 현장체험 - 천연기념물 524호인 경남 우포늪기사 l20160530
- 해설사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며 1시간 동안 산책을 하면서 미루나무와 버드나무, 야생 꽃들과 무당벌레, 잠자리, 호랑나비 등을 관찰했습니다. 선생님은 창포를 꺾어서 상큼한 향도 맡게 해주시고, 옛날 어른들은 창포를 삶아서 머리를 감고 목욕도 했다고 알려주셨습니다. 오디나무, 칡 넝쿨도 알려주셔서 처음 보았습니다. 선생님은 우포늪를 제대로 ...
- [2016년 11호 미션] 엉엉엉엉놀이터 l20160527
- 안녕하세요~! 현재 진행중인 미션은 11호 미션입니다! '요리스타 청'에 나오는 한 장면을 멋지게 따라 하는 거예요. 바로, 이 장면이죠? 이 장면을 따라한 사진을 2016년 6월 15일까지 올려 주세요~! (고화질 파일로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그럼, 캐릭터 미션 시작~! ...
- [2016년 11호 미션] 나노로봇이 개발된다면...놀이터 l20160527
- 2016년 11호 그림터 미션은 '과학뉴스 - 과학마녀 일리' 만화에 나오는 한 장면의 다음 장면을 상상해서 그리는 거예요! 바로, 이 장면 입니다! 이 장면에 이어질 그림을 그려서 6월 15일까지 댓글로 달아 주세요~! (고화질 이미지 파일로 첨부 부탁드립니다) 올려 주신 그림이 뽑히면 7월 1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 그림도 실리 ...
- 보존과학으로 분석하고 복원한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들기사 l20160524
- 보관하기에는 유물에 큰 문제점이 생길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복원하여 원래 모습으로 재탄생시켰습니다. *관음보살. 국보 제 127호입니다. 관음보살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인 청동에 금으로 표면을 도금한 삼국시대의 불상입니다. 발견 당시 얼굴과 보관, 대좌 등에 부분적으로 청동 녹이 덮여 있었습니다. 청동 녹은 알칼리 용액으로, 제거하고 단하게 ...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문화재 보존과학자를 만나다기사 l20160522
- 4가지입니다. 1) 문화재 보존과학자가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 어렸을때 도자기를 깨트려서 혼자 밥풀로 한땀 한땀 붙이면서 그때부터 호기심을 가진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고등학교 때 선생님께서 추천해주셔서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졌습니다. 2) 외국에서 우리나라 유물을 전시할 때, 운반 중에 유물들이 손상을 입으면 어떻게 하나요? : 외국에 도착하 ...
- 해리포터 퀴즈!!!포스팅 l20160522
- 예)해리-해리 제임스 포터7단계불사조 기사단의 주소는 어디이며 주인은 누구인가요?8단계볼드모트의 호크룩스는 몇 개이며 무엇이 있나요?8단계까지 책이나 인터넷을 보지 않고 모두 맞힌 당신은 진정한 해리 포터의 팬입니다! ... ...
- 딸기우유에 들어가는 코치닐 색소기사 l20160518
- 일부는 천연염료를 사용하지만 주로 저렴하고 색조가 선명하고 아름다운 합성염료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용색소 청색 1호가 들어간 음료수를 가지고 하얀 치마를 염색해보니 곱게 물들고, 심지어 빨아도 색이 빠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 초코우유나 딸기우유 등에 들어가는 코치닐 색소는 붉은색으로 주로 선인장에 사는 연지벌레라는 벌레로 만듭니다. 코 ...
-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어떻게 구분할까?기사 l20160517
- 있었는데요. 2015년 11호에서는 네팔 대지진에 대해서, 가장 최근 호인 2016년 10호에서는 불의 고리의 대지진에 대해 다뤘습니다. 이번 호에서 불의 고리에 관한 기사를 읽으면서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사람이 만들어낸 지진과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지진을 어떻게 구분할까?' 이에 대하여 인터넷 ...
- 목성 관찰하기기사 l20160514
- 318배나 되고, 지름은 지구의 약 11배 입니다. 목성도 토성처럼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리가 얇고 희미하기 때문에 보이저 2호가 목성 가까이에서 촬영을 하기 전에는 잘 볼 수가 없었지요. 목성의 고리는 두 개로 나뉘는데 하나는 목성 주위를 감싸고 있고, 또 하나는 목성에서 약 25만 km 떨어져 있답니다. 만약 목성이 조금만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