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합
통일
동화
집대성
융합
병합
집중
뉴스
"
통합
"(으)로 총 2,583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은 타인의 마음을 얼마나 알 수 있나
과학동아
l
2015.08.27
누군가의 배신으로 결국엔 실패로 끝나긴 했지만 아이디어가 흥미로웠다. 김영진 석박사
통합
과정(이하 김) : 제 안대로 모두가 짜장면을 선택할 때 출연자 전체의 효용이 가장 크다. 마치 죄수의 딜레마에 빠진 죄수들이 서로를 믿고 배신하지 않을 때처럼 말이다. 하지만 한명이라도 배신을 하고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만드는 효소를 밝힌 논문이 7월에 발표됐다. 그 뒤 한 달 만에 전 과정을 한 효모에
통합
하는데 성공했다는 논문이 발표됐다. - 네이처 제공 ● 6종에서 21개 유전자 도입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자들은 효모 균주에 외부 유전자 21개를 집어넣어 모르핀의 전구체인 테바인을 합성하는 만드는데 ... ...
기억보다 망각이 중요한 이유
2015.08.23
꼽은 부위는 전전두피질이다. 우리가 느끼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전전두피질에서
통합
돼 반응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전전두피질은 인간의 모든 생각과 모든 감각을 입력한 다음 뇌의 다른 부위와 협력해 특정 목표를 달성하게 한다. 무언가에 집중하거나 관심을 갖고 조직화하게 해 주는 ... ...
로봇 팔 끼고 사과 따기 게임 해보실래요?
2015.08.21
더 가벼워진 셈이다. 인간형 로봇이나 최첨단 산업용 로봇에만 쓰이던 경량 고출력
통합
구동 모듈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모듈은 연구진이 자체 개발했다. 그 덕분에 로봇 팔을 상용화할 경우 수입 로봇 팔을 쓸 때보다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현재 외국산 재활 로봇은 1억5000만 원부터 최고 3억 ... ...
직원 함께 뽑고 행정SW도 공동개발… 출연硏 행정개혁 시동건다
2015.08.18
해 봤을 법한 비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견 수렴의 장이 열린다. 25개 출연연
통합
지원기관인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출연연의 행정 분야 개선과제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국내 과학기술인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과학기술 출연연 행정효율화 추진위원회 주요 추진 경과 설명 및 ... ...
이런 CCTV 보셨나요?
2015.08.14
다른 곳을 찍고 잇던 카메라가 기자 쪽으로 고개를 돌려 촬영하기 시작했다. - U-진천CCTV
통합
관제센터 제공 소리를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소음을 제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시 소음은 60~65dB(데시벨)로 1~2m만 떨어져도 웬만한 소리는 잘 들리지 않는다.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비가 오는 날에는 ... ...
영화 ‘굿 윌 헌팅’과 한 비운의 천재 수학도
2015.08.09
그런데 병역특례 연구원이 되려면 석사나 박사 학위가 있어야 했다. A씨는 석박사
통합
과정을 마치지 못했기 때문에 아직 석사학위도 없는 상태라서 당연히 문제가 됐다. 즉 자격 미달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 문제가 불거지기 전에는 아무도 그가 학위를 받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고 ... ...
“배울것 많다” 아우성… ‘임상적 근거’ 바탕으로 학습량 정해야
동아일보
l
2015.08.06
개정의 목표인데, 객관식 문제 중심인 수능으로는 제대로 된 평가가 어렵기 때문이다.
통합
과학을 수능에서 평가하면 암기 과목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고, 수능 평가 과목에서 제외하면 학생들이 공부를 안 하게 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교육과정과 수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교육부가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실제 공간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인식해 가상과 실제 공간의 좌표 정보를
통합
처리하게 만든 것이다. 사용자는 입체안경만 착용하면 3D 영상 속에서 마치 자신이 사물을 움직이는 것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비슷한 가상현실 장치를 개발했지만 장치가 복잡할 뿐 ... ...
배터리 충전속도 3배 높이는 나노막 개발
2015.07.27
유승민 울산과학대 교수, 이상영·박수진 울산과기대(UNIST) 교수, ,김정환 UNIST 석박
통합
과정 연구원. - 울산과기대(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리튬이온전지의 충전 속도와 수명 등 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분리막을 개발했다. 박수진·이상영 울산과기대(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사진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