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02
흐르고 있기 때문일까. '(들소를 나타냄)마리 잡았음'이라고 쓰여있는 동굴 벽화를
상상
해본다. 서부시대의 총잡이는 자신이 죽인 사람의 수만큼의 눈금을 총신에 새겨두었다고 한다. 수많은 눈금이 새겨진 권총을 허리춤에 출렁거리며 걷는 기분은 나쁘지 않았을 것이다. 로빈스 크루소가 날짜를 ... ...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02
쯤은 단 한방에 오염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이 신경제가 민가를 덮친다면 그 피해는
상상
하기도 어렵지만 일단 방독면을 써야 그나마 대비할 수 있다. 그러나 방독면만으로는 절대 안전할 수 없다. 호흡기 뿐만 아니라 피부를 통해서도 신경제가 흡수되기 때문이다. 결국 온 몸을 완전히 감싸는 ... ...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02
윤곽을 잡을 수 있을 뿐이다.로봇이 만약 레이저눈(센서, sensor)를 갖게 된다면 이러한
상상
은 현실로 옮겨진 것이다. 아직 2차원 3차원을 인식하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레이저센서에 관한 연구는 한창 진행되고 있다.■ 동위원소 분리의료용으로 쓰이는 코발트(Co)나 핵연료인 우라늄의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02
중력이 없는) 시공간을 고무로 된 평면으로 나타내고 여기에 물체를 올려놓았을 때를
상상
해 보자.틀림없이 고무평면은 물체의 중력으로 인해 아래로 처지게 된다. 여기서 고무평면이 처지는 실제 이유는 물체의 무게(지구의 중력)에 있지만 이것은 비유의 편이상 부득이한 일이다.물체의 질량이 ... ...
「정보화」의 두얼굴
과학동아
l
199101
가격면의 혁신이라고 볼 수 있다. 컴퓨터와 주변기기의 급속한 발달로 우리는 과거에는
상상
하기조차 힘들 정도로 많은 양의 정보를 순식간에 처리 저장할 수 있게 되었고 통신위성 해저광케이블 등 통신기술의 발달로 동시에 많은 양의 정보를 눈깜박할 사이에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 ...
과학기술처 김진현 장관
과학동아
l
199101
국가사회의 중요한 요소로서 생각하곤 했으나 한번도 과학기술행정책임자로서의 모습은
상상
해보지 못했습니다. 이 자리는 전문지식도 중요하지만 균형있는 판단과 조화도 필요하므로 객관적 입장에서 행정력을 발휘, 국민의식을 과학화하는데 힘쓰겠습니다."'국민의식의 과학화'라는 표현에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01
가장 가까울 때, 즉 근일점(近日点)에 있을때 수성의 적도 부근에 사람이 서있다고
상상
해보자. 그가 느끼는 온도는 어떠할까. 태양이 그의 머리 위에 왔을 때, 즉 수성의 정오경의 온도는 약 4백30℃까지 올라갈 것이다. 이 온도는 온실효과 때문에 4백70℃까지 올라가는 금성 다음으로 행성중에서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01
리겔을 구부린 왼쪽다리의 끝으로 생각하고 주위의 별들을 잘 연결하여 그 모습을
상상
해 보면 아주 재미있을 것이다(그림).이 오리온좌에는 아주 유명한 천체가 있다. 삼태성 바로 밑에 있는 작은 삼태성(소삼태성)의 가운데 위치한 유명한 '오리온 대성운(M42)'이 바로 그것. 발광성운인 이 별은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01
원시지구가 생겨날 당시로 거슬러 올라가 그때 일어났던 일들을 알아내는 일은 그야말로
상상
조차 하기 어려운 문제다.그러나 사람의 능력이란 무한한 것. 오늘날의 지구환경에서 당시의 상황을 추정해볼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해 지금까지 수집된 여러가지 정보를 종합함으로써 원시지구에서의 ... ...
초고속 컴퓨터를 탄생시킬 초전도 기술
과학동아
l
199101
그 사이를 길이가 10㎛인 약한 초전도성 끈이 수도없이 연결돼 있다. 사닥다리 모습을
상상
하면 된다.이 구조를 활용해 조그만 입력신호(약한 전류)를 주면 두개의 초전도체 끈 사이에 큰 전압의 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이다.피츠버그에 있는 웨스팅하우스 과학기술센터의 존 탈바치오 박사는 "초전도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