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06
0.5초 안에 심판에게 신호를 전달한다.카이로스는 골레프와 비슷한 원리인데 구리코
일
이 아니라 마이크로칩을 공에 심는다. 카이로스와 골레 프 모두 설치비용이 싸고 설치가 쉽다. 또 골문 앞에 선수들이 많이 몰려있어도 아무런 문제없이 골 판정 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감나는 영상을 TV로 보여줄 ... ...
서울숲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6
24시간 꼬박 숲을 관찰하면 얼마나 많은 생물을 발견할 수 있을까. 생물다양성 번개모임인 제5회 ‘바이오 블리츠(BioBlitz)’가 6월 14
일
서울시 성동구에 위치한 서울숲 ... 단위 참석도 가능하며 6월2
일
부터 7
일
까지 홈페이지(bioblitz.or.kr)를 통해 접수를 받는다. 자세한
일
정은 홈페이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6
현실에서 볼 수 있는 날이 올까. 층층이 쌓인 난제를 듣고 보니 진짜 투명망토는 백
일
몽
일
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김 교수의 다짐은 달랐다. “이번에 개발된 재료는 투명망토뿐만 아니라 광학적으로도 없던 소재라고 할 수 있어요.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
과학동아
l
201406
2
일
(목)~6월 6
일
(금)장소_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내 방문자센터, 한반도숲, 서천농업생태원
일
원프로그램_ 한국의 야생화 특별전약초전문가가 들려주는 우리꽃 우리약초 이야기수라간에서 찾은 에코푸드문의_ (041) 950-5300국립생태원에서 6월에 만날 수 있는 야생화1. 금낭화 : 꽃이 매우 아름다워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
과학동아
l
201406
독자와 직접 만나 책에 담겨 있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행사다. 5월 28
일
에는 사이언스북스의 대표작인 ‘오래된 연장통’의 저자 전중환 경희대 교수를 초청해 독자와 책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
과학동아
l
201406
명성을 택하지 않겠는가?”아르키메데스를 기리는 다양한 명언이 있다. 아
일
랜드의 수학자 해밀턴은 “누가 정복자 마르켈루스의 명성보다 아르키메데스의 명성을 택하려 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수리철학자 화이트헤드는 그리스와 로마를 비교하면서 “어떠한 로마인도 기하학의 도형을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06
입을 수 있어. 하지만
일
반적으로
일
의 효율성을 위해서 위험하지 않은 시약을 다룰 때는
일
상생활처럼 연구하기도 하지.Q&A 물리, 수학은 못해도 되나요?확실히 다른 과에 비해 물리, 수학은 구경하기 힘들지만 몰라도 되는 건 아냐. 분자간의 힘 같은 물리 지식과 통계 같은 수학 지식은 기본이지.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
다른 사람에게 알려 이들이 자신의 노력을 돕게 하는 '목표를 타인에게 알리기', 매
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적으며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는 '행동 감시'가 있다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06
연구할 때 결 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현재의 관측 기술로 외계 위성을 발견하는
일
은 쉽지 않다. 하지만 더 좋은 망원경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변화를 통해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
과학동아
l
201406
달기전이었다. 하지만 등지느러미 모양을 통해 삼팔이가 2013년 6월 25
일
과 27
일
, 11월 14
일
에 50여 마리의 야생 무리와 잘 지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돌고래는 등지느러미의 상처가 제각각 달라 사람의 지문처럼 이용한다. 고래연구소는 제주도에 있는 거의 모든 남방큰돌고래를 등지느러미로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