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조작된 인스타그램 좋아요 수 기계학습으로 밝힌다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그린스태즈 미국 뉴욕
대학
교 컴퓨터과학및공학과 교수팀이 기계학습을 이용해 인스타그램에서 ‘좋아요’ 수가 조작된 게시물을 찾는 알고리듬을 개발했습니다.‘팟즈’는 팔로워 수가 많은 계정을 가진 사람끼리 서로의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고 댓글을 달아 게시물을 조작하는 모임입니다. ... ...
[수학뉴스] 코로나19와 세포의 싸움 수학으로 들여다본다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칭 니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교 어바인캠퍼스 수학과 교수팀이 세포 또는 유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기계학습 기술을 개발한 겁니다.연구팀은 먼저 조직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세포와 세포, 그리고 유전자 사이의 공간적인 ... ...
[이달의 수학자] 이 시대의 진정한 폴리매스, 데이비드 멈퍼드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수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인 필즈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멈퍼드 미국 브라운
대학
교 응용수학과 명예교수는 자신의 모든 업적을 무료로 온라인 홈페이지에 공개하면서 이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오는 6월 11일은 올해 한국 나이로 84세인 멈퍼드 교수의 생일입니다. 멈퍼드 교수는 현재까지도 ... ...
조금 이른 고래 올림픽 가장 날쌘 고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모양이지. 비행기의 날개 역할하는 고래의 꼬리 지느러미키스 무어드 미국 리하이
대학
교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항공기 날개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식을 도입해 고래 꼬리 지느러미의 효율성을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했어. 이렇게 구하는 이유를 비행기를 예로 들어 설명해볼게. 비행기가 ... ...
[주니어 폴리매스]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
[특집] 무너지는 복도 - 현대 암호는 수학 난제?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내성 암호’라고 한다. 이 암호는 수학 난제를 풀어야만 깰 수 있다. 2018년 천정희 서울
대학
교 수리과학부 교수팀은 연립방정식을 이용한 암호를 개발했다. 이 암호는 연립방정식의 해를 간격이 1인 격자 위에 표현하는 격자 기반 암호다. 만약 일차 연립방정식 x+y=26과 x-3y=-2가 있다면 바로 해를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처리해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 ※필자소개 김지윤. 연세대 의대를 졸업한 뒤 동
대학
원에서 소화기 약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며, 유전자 관점에서 위와 소장, 대장과 같은 소화기 계통에서 발생하는 질환들의 원인과 치료법을 연구하고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흔히 생각하는 연구개발 외에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또 그는
대학
시절 방송국 앵커 일과 파티 플래닝 등 현재 직업과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일들을 재미 삼아 시도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이런 작은 경험들조차 프레젠테이션이나 조직 구성 등에 알게 모르게 도움이 됐다”며 “모든 ... ...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조거를 위한 경로를 이론적으로 설명한 논문이 올라왔어. 자야데브 아트레야 미국 워싱턴
대학
교 수학과 교수와 데이비드 올리치노 미국 브루클린칼리지 수학과 교수는 정다면체의 격자 표면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정십이면체에 사교성 없는 조거를 위한 경로가 존재 한다는 걸 밝혔어. 그뿐만 아니라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과 새 공룡 종(種) ‘저승사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더 많았죠. 이를 근거로 티라노사우루스과의 새로운 종이라고 분석했답니다.캘거리
대학
교 달라 젤레니츠스키 공룡학자는 “우리는 이 종이 서식했을 당시 가장 크고 힘이 센 최상위 포식자일 것으로 본다”면서 “학명은 ‘저승사자’라는 뜻을 담아 ‘타나토테리스테스 데그루토룸’(Thanatotheristes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