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광합성의 목적이 아니다. 광합성에서 더 중요한 것은 수소이온과 전자다. 하지만 그
덕분
에 지구상 대부분의 생물이 산소를 이용해 살아간다. 이렇게 만들어진 수소이온과 전자는 각각 또 다른 화합물을 생산하고 이 화합물들은 다음에 일어날 암반응을 진행시킨다.암반응은 이름처럼 빛이 없는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화합물 IRT5를 이루는 미생물 5종은 모두 사람의 대변에서 분리한 유산균입니다. 다른 유산균이나 이들을 단독으로 쓸 때보다 5종을 조합할 경우 면역조절능력이 가장 탁월했습니다.”지 ... 안되는 배들 4S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지만 1996년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의 물리학자 맥스 타박의 아이디어
덕분
에 펨토초 레이저는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하게 됐다. 국립점화설비연구소가 추진 중인 ‘중심 점화’ 방식은 연료 캡슐을 고에너지 레이저로 온 방향에서 균일하게 가열해 점화시키는 방식이다.타박 박사가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말이 있다. 사촌에 대한 시샘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 배가 아프다는 말이다. 얼핏 들으면 맞는 말 같다. 우리도 일상에서 경험하기 때문이다. 배가 아 ... . 말도 안되는 배들 4S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말을 들어 몸이 안 좋은 부모님 집에 설치해 드렸다”며 “어머니도 로봇청소기
덕분
에 집안일에 신경을 덜 쓰게 됐다고 좋아하신다”고 말했다.로봇청소기가 진화하고 있다. 작동시킨 뒤 외출하고 돌아오면 방문턱에 걸려 멈춰있거나 흡수력이 약해 청소를 하고 난 뒤에도 먼지나 이물질이 바닥에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곡선 위에서 추가 흔들려야 한다는 사실까지 밝혀 냈습니다. 저의 추시계 발명
덕분
에 과학자들은 좀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게 됐죠.효율 특허 뫼비우스의 띠 vs 매듭패널들의 소개 잘 들었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대결에 들어가 보지요. 발명품하면 아무래도 효율성이 뛰어나야 되겠죠? 그래서 첫 ... ...
사고뭉치가 달라졌어요! 스쿨 필하모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초등학교와 중학교 검정고시를 통과해 고등학교에도 진학할 수 있었지요. 음악
덕분
에 노숙자 생활에서 벗어난 최성봉 씨는 이제 세계적인 음악가의 꿈을 꾸고 있답니다. 기쁨과 자신감 주는 음악의 비밀!우와~! 최성봉 형은 텔레비전에서 봤어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뽑혀 인기 가수가 된 허각 ...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을 뿐만 아니라 빨간 장미나 노란 국화 같은 예쁜 꽃도 피울 수 있지. 이 모든 게 온실
덕분
이야. 온실만 있다면 한 겨울에도 쉽게 꽃을 찾을 수 있을 텐데…. 하지만 조선 시대에 온실이 있을 리가 없잖아? 그런데 이게 웬일! 조선 시대에도온실이 있었다고?우와! 난 몰랐는데…, 너네 그거 알고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전술로는 왼쪽 그림과 같이 육각형 모양을 이루는 2-3-2 구조가 가장 안정적이다.난쟁이
덕분
에 다시 찾은 왕국동화 대 영화독 묻은 사과를 먹고 유리관 안에 잠드는 동화 속 백설공주와 달리, 영화 속 백설공주는 적극적으로 왕비에게 빼앗긴 왕국을 되찾기 위해 결의를 다진다. 백설공주는 최고의 ... ...
기량 차 줄어드니 4할 타자 사라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설명(일명 ‘굴드 가설’)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다.정재승 교수는 “집단지성을 활용한
덕분
에 몇 사람이 하기 힘든 데이터 분석 연구를 할 수 있었다”며 “연구 결과는물론 데이터도 공개해 다른 집단지성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