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다. (아래)중성미자가 반응하면서 내는 아주 미약한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 내부에 액체를 넣고 밀봉하면 중성미자검출기가 완성된다.]중국과 동등한 업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마지막 남은 변환상수를 측정하기 위한 국제 경쟁에 우리나라가 뛰어든 건 2006년. 경쟁 상대인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차단해 탐지를 피할 수 있다. 메타물질의 원리. 파동의 굴절률을 (-)나 0으로 만들어 빛이나 음파의 파동이 지나가도록 만든다.]지나간 흔적까지 없앤다도대체 어떻게 바다 속을 지나간 흔적까지 없애줄까. 정확하게 말하면 지나간 흔적을 적에게 들키지 않는 기술이다. 미국 듀크대 데이빗 스미스 ... ...
- 바이오 전자 현미경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관찰하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두껍게 만들면 전자가 투과하지 못해 관찰이 불가능하다. 결국 광학현미경으로 보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보려면 얇게 가공해 ...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과학동아 l2012년 05호
- PM형 OLED는 화면에 배열된 발광 소자의 가로축과 세로축에 각각 전압을 넣어 그 교차점을 빛나게 하는 방식이다. PMOLED는 정교한 화면 구현이 어렵고 크기에 따른 소비전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는 단점이 있다. AMOLED(아몰레드)라는 이름으로 더욱 친숙한 AM형 OLED는 발광 소자마다 박막 트랜지스터를 ... ...
- Part3. 비판과 한계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브레인 관측은 아직은 요원하다.관측 증거 후보로 유력한 것은 우주 초기의 중력파다. 빛을 이용해 관측이 가능한 시간적 한계는 빅뱅 이후 38만 년 이후부터다. 이 경계를 “최후산란면”이라고 하며, 그 이전은 오직 중력이 시공간에 미친 요동인 ‘중력파’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이형목 ...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수 없는 대구경 고속 스위치가 있다. 이 스위치는 편광을 조절해 나노초 수준의 빠르기로 빛을 통과시키기도 하고 반사시키기도 한다. 이 스위치 덕분에 한 번 만들어진 레이저는 에너지를 증폭시키는 주증폭기를 4번이나 왕복할 수 있다. 레이저를 만드는 효율이 4배 커지는 것이다. 4번 증폭된 ...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드러난다. 멕시코모자(솜브레로은하)보다 황소의 눈을 닮았다.] [백색왜성에서 나온 빛 지구에서 157광년 떨어진 백색왜성에서 파장에 따른 밝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관련 그림을 그려 넣어 그 밝기가 백색왜성 때문인지, 주변 원반 때문인지를 잘 보여준다.]영상 처리에서 상상화까지한 폭의 ...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고가도로가 들어선대. 애들 난리났잖아. 고가도로가 세워지면 자기가 제일 먼저 빛의 속도로 건너갈 거라는 둥 자랑이 아주 가관이야.”“그래? 2년마다 도로 길이를 줄이더니 이제 아예 고가도로를 만들었구만. 매일 수백 억, 수천 억 번씩 왔다갔다 하는 게 지겨웠는데 고가도로라 스릴은 더 있겠네 ...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과학동아 l2012년 05호
- 107년 전인 1905년, 우리나라가 일제의 침략 앞에 위태로울 때 세계 물리학은 빛, 공간, 시간, 물질, 에너지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천재적 업적(특수상대성이론)으로 패러다임 변혁이 일어나고 있었다. 1920년대에 이르러 양자역학이 등장해 고전 물리학과 선을 긋고 세계는 현대 물리학으로 장대한 ...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어떠했을까. 친숙한 찔레꽃과 해당화 속에 답이 있다. 꽃잎은 5장에 불과하고, 꽃잎 빛깔도 검붉은 색과는 거리가 먼 두 꽃이 바로 ‘성형 수술 비포어(before)’에 해당하는 야생장미다. 오늘날까지 개발된 장미의 품종은 약 2만 5000여종. 유전자 분석 결과, 개량장미를 만드는데 사용한 야생장미는 전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