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해선 안 된다고 강조하셨어요. 십이지장충의 항응고제나 크론병을 치료하는 편충의
알
등 기생충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어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기 때문이에요.두 시간 가량 이어진 강연이 끝난 뒤에는 ‘노빈손과 위험한 기생충 연구소’ 사인회가 열렸어요. 강연장 앞쪽이 ... ...
지구의 사촌 행성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공상과학 영화에서처럼 다른 행성에 사는 일이 그리 먼 미래의 일이 아닐지도 몰라요. 지구와 닮은 제2의 지구를 발견했거든요.지난 7월 23일, 미국항공우주국 ... 덩치가 더 큰 지구의 사촌이라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사촌을 통해 지구의 진화 과정을
알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주셨어요.이를 통해 바닥면이 모자이크 모양인 운동화를 신은 사람이 범인이란 걸
알
수 있었어요.범인의 펜을 찾아라!마지막으로 종이에 메시지를 쓴 펜이 어떤 종류인지 분석해 보기로 했어요. 메시지를 쓸 때 사용한 펜과 같은 펜을 갖고 있는 용의자가 범인일 가능성이 높거든요. 하지만 용의자 ... ...
장님 물고기는 먹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같은 멕시칸 테트라 종이지만 동굴 밖에 살고 있는 친구들과 우리를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원래는 그 친구들과 우린 같은 모습이었죠. 하지만 우리가 동굴에 살면서 그 친구들과 다른 모습을 갖게 됐지요. 눈이 퇴화됐고, 그 대신 뛰어난 후각을 갖게 됐답니다. 또한 색소도 없어져서 이렇게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몇 주가 지난 후에야 남쪽 지방에서도 발견되었죠. 말매미가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
려진 강남과 목동, 여의도에서 참매미도 가장 빨리 나타났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말매미와 참매미의 출현시기가 도시의 높은 온도와 관련이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답니다.지구사랑탐사대의 매미탐사에서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인간의 삶까지 좌우하고 있는 대단한 생물이지? 내 5년의 항해 덕분에 플랑크톤에 대해
알
릴 수 있게 되서 정말 기뻐. ‘타라’의 여행은 끝났지만, 또 다른 탐험선이 계속 플랑크톤을 찾으러 갈 거야. 그 배에는 친구들도 타지 않을래? 친구들이라면 분명 더 멋진 플랑크톤을 찾을 ...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사람들을 놀라게 했던 거미 비.
알
고 보니 똑똑한 거미의 생존 전략이었네요.거미가
알
려 주는 비행방법➊ 엉덩이를 하늘을 향해 들고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거미줄을 뿜어낸다.➋ 몸 밖으로 나온 거미줄에 장력이 생겨 몸이 공중에 뜨면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➌ 거미줄에 매달려 멀리 날아간 ... ...
제9회 향수옥천 포도·복숭아 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퍼져 있지 않고 뭉쳐지듯 모여 있는 게 맛있는 포도래. 또 맛있는 포도에는 포도
알
에 당분이 새어나와 굳은 하얀 가루가 묻어 있다고 하니, 이 두 가지를 잊지 마!포도·복숭아로 맛있는 떡을!포도와 복숭아로 떡과 케이크, 쿠키를 만들면 어떤 맛일까? 입에 넣는 순간 향긋한 포도와 복숭아 향이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즐거웠어요. 이제는 끈기가 필요한 시점인 것 같아요. 로봇 개발이란 게 앞날을 정확히
알
수도 없고, 10년이나 20년 바짝 연구하면 끝이 보이는 일도 아닙니다. 포기하지 않고 끈기 있게 앞으로 나아가며 휴보를 더 발전시키고 싶습니다.이명하 : 미래의 휴보는 어떤 모습일까요?이번 대회에서 ... ...
드론 미래를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가상현실 안경을 쓰고 고개를 왼쪽으로 돌리면 키넥트처럼 적외선을 이용해 위치 변화를
알
아내요. 마찬가지로 위치 정보가 컴퓨터를 거쳐 드론에 달린 카메라에 전송돼 카메라 렌즈의 방향이 바뀐답니다.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제어공학연구실 김재승 연구원은 “매일 연구실 안에 있는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