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기정보공학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매우 넓고 종사하는 인력도 많다.4 뭘 배우나요?서울대 학부과정 전기정보공학은 전기에너지 시스템분야, 전파 및 정보통신분야, 제어계측 및 자동화 분야, 반도체 소자 및 집적 회로 분야, 전자 물리 및 레이저 분야, 컴퓨터 및 초고밀도 집적회로(VLSI) 분야로 크게 여섯 가지로 나뉘어 있다. ... ...
- Fun 2012 여수세계박람회 100배 즐기기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해상풍력, 조력발전 등 다양한 해양자원을 소개하고 있어요. 또 이 자원에서 미래에너지, 신소재, 식량, 신약 등을 얻는 과정을 입체 영상으로 보여줘요. 특히 해조류에서 고분자바이오플라스틱을 추출하는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답니다.대우조선해양로봇관에는 무게만 1톤에 달하는 해양 로봇 ... ...
- Part3. 비판과 한계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위한 조건인 초대칭 입자를 찾고 있지만, 물리학자들에 따라 지금보다 1만 배 이상 큰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다중우주의 존재는 우주 자체의 모습을 밝히는 의미도 있지만 또다른 의미도 있다. 우리가 수많은 우주 중 하나의 우주에 살고 있다는 발상의 전환이다. 랜드스케이프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정도이며 심지어 5조원까지도 거론되고 있다.이러한 해양플랫폼은 최근 자원의 고갈 및 에너지원 가격 상승에 따라 더욱 깊은 심해저에서의 채굴과 생산을 위해 건조되고 있다. 결국 플랫폼의 크기가 커지고 가격도 높아진다. 따라서 값비싼 해양구조물이나 고부가가치 선박을 설계하고 건조하는 데 ...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풍경에 적용하면, 앞서 말한 상대적으로 안정한 에너지 상태 가운데 일부는 무작위로 에너지가 더 낮은 다른 안정한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이는 그 상태에서 탄생한 우주가 다른 우주상수를 지닌 전혀 다른 우주로 변할 수 있다는 뜻이다.우주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면 어떻게 될까. 우주 안에 새로운 ... ...
- 바이오 전자 현미경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통과한다. 전자렌즈는 자기장을 이용해 전자빔을 한 줄기로 모은다. 전자빔의 에너지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져 더 작은 물체를 관찰할 수 있다. 기초연에 있는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HVEM)은 1300kV의 전압으로 전자빔을 가속시킬 수 있어 원자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0.12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금속이 아주 튼튼해 웬만한 총탄이나 포탄에도 끄떡없지. 게다가 인공지능이 필요 없어, 에너지원만 해결된다면 만들 수 있다고 해. “이게 무슨 입는 로봇?”“뭐가 어때서. 애써서 아이언맨에 나온 입는 로봇을 만든 건데!”“주전자를 머리에 쓰고, 큰 철판통을 …, 이건 깡통로봇이잖아!”“어, ...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차세대 에너지로 꼽힌다. 2040년 자동차 에너지의 약 50%, 발전 설비와 주거 설비 전력에너지의 약 20%를 수소연료전지가 책임질 것으로 예상된다.수소연료전지의 상용화 시기가 먼 이유는 가격 때문이다. 연료전지에서 전기가 만들어지는 반응을 일으키려면 ‘촉매’가 필요한데 대부분 귀금속이 ...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위한 장치)을 설치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며 “고정식 구조물에 비해 외부 운동 에너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부서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설명했다(위 그림 참조).태평양 해중터널의 외부 위협 요인은 무엇일까. 우선 부력과 중력, 텐션렉 등 고정장치의 장력, 조류압, 파력, 쓰나미 ...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특집 ‘양자역학과 춤을’ 3부 참조). 해석을 쉽게 이야기하면 “서로 다른 상태(위치나 에너지 등)의 양자가 동시에 존재하는가 또는 그 중 하나만 존재하는가” 등을 결정하는 일이다. 예를 들어 책상 위 볼펜의 위치를 나타내는 파동함수를 구했는데(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었음), 볼펜의 위치가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