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d라이브러리
"
영화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4 자외선으로 기록하고 가시광선으로 지운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용도에서는 적합하다. 즉 흔적이 남아서는 안될 기밀문서 보관용으로 말이다. 첩보
영화
에 등장하는 것처럼 흔적이 남아서는 안될 기밀정보를 이 유기색소 물질을 사용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환경에 의해 일정시간 내에만 작동되고 자동적으로 기록이 지워지게 된다.무엇보다도 ... ...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않는 금융기관이나 정보기관에서는 최근 홍채인식 시스템을 선호하는 편이다.때때로
영화
에서 타인의 홍채를 복사해 신분을 위장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로는 동일한 홍채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설사 유전자를 조작한다고 해도 같은 홍채를 가질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낮다 ... ...
고등학생 영어로 물리난제풀이 경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대결, 마지막 4회전에서 부산영재 A팀(reporter)과 인천과학고(opponent)의 대결에서는 한편의
영화
에서 클라이맥스를 보듯 치열한 공방을 거듭했다.그 결과 인천과학고가 영예의 우승을 차지하면서 과기부장관상인 금상을 수상했다. 여기에는 이정빈 학생의 뛰어난 능력이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나오는 이 장면은
영화
팬들의 기억속에 지워지지 않고 남아있다.1970년 개봉된 이
영화
는 당시 옛소련에 속했던 크로아티아에서 촬영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실 해바라기는 소련의 국화이기도 하다. 소련 사람들이 사랑했던 해바라기는 1980년대 후반 그 사랑에 대해 온몸으로 보은함으로써 다시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뜰 수 있는 한계는 몸무게 10g(약 10-1N)에 다리 길이 25cm인 것으로 드러났다. 소금쟁이를
영화
에서 물 위를 걷는 커다란 괴물로 등장시키기는 어렵다는 말이다.음료 캔으로 만든 소금쟁이로봇기계공학과 대학원생인 브라이언 찬은 실제 소금쟁이의 행동을 흉내내면서 표면장력과 몸무게의 이상적인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창조성을 발휘해 목공예품을 만드는 ‘예술가’로 거듭나게 됩니다. 같은 이름의
영화
에서 앤드류는 2005년 주인집에 배달된 최신형 가정부 로봇으로 등장합니다. 그렇다면 2년 뒤인데 과연 그런 일이 가능할까요.그 단서를 엿볼 수 있는 행사가 최근 미국에서 열렸습니다. 지난 7월 12-13일 뉴욕에서는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서부에서’‘미션’과 같은
영화
에서 자연의 소리를 그대로 표현한 듯한 음악을 선보여
영화
를 더욱 명작으로 만들었다.하늘이 선사한 악기를 연주한다올이 찾은 베마라하자연보호구역은 석회암 지대인데, 30m 높이의 날카로운 석회암 탑들이 수많이 서있는 평원이 있다. 이 석회암 탑들은 비의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더이상 없을테니 말이다.부동액 체계 갖춘 개구리그렇다면 냉동인간은 정말 가능할까.
영화
‘데몰리션 맨’이나 ‘에일리언’에 나오는 황당하고 썰렁한 냉동인간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타당한 진정한 냉동인간 말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냉동인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화가 날 때마다 녹색의 괴물로 변했다.
영화
에 집중하고 있던 모험이와 슬기는 어느새
영화
속으로 들어와 녹색의 괴물 헐크에게 쫓기고 있었다.모험이 : 슬기야, 빨리 뛰어!슬기 : 오빠, 살려줘!있는 힘을 다해 달렸지만 슬기는 결국 헐크에게 붙잡히고 말았다.화가 머리끝까지 나있던 헐크는 슬기를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조명은 꺼져 있다. 잠시동안은 주변을 알아볼 수 없다가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진다.
영화
가 끝난 후 조명이 켜지면 객석이나 관객들이 훨씬 잘 보인다.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은 홍채가 조절한다. 주변이 밝을 때는 홍채가 느슨해지면서 동공이 작아져 눈에 빛이 적게 들어온다. 반대로 어두울 때는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