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d라이브러리
"
호
"(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이온화되므로 목성의 극 근처에서 일어나는 오로라 현상도 많이 변화될 것이다. 미국의
호
라니 박사에 따르면 혜성의 꼬리에서 나온 물질이 3-4년 내에 목성 주위에 또 하나의 테를 만들지 모른다는 것.우리나라는 7월 중순이 장마 기간이므로 관측조건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천문대와 일부 ... ...
남·북한 전략무기 정밀분석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해 화력이 떨어지며 정확도 또한 떨어진다. 최근 북한이 개발하고 있다고 보도되는 노동 3
호
는 스커드 E형에 해당한다. ● CSS-N-2 실크웜중국이 개발한 중거리 미사일로 사정거리 80㎞, 4백92㎏의 탄두장착이 가능해 위력이 크다. 그러나 실크웜은 속도가 느린데다 명중률이 낮다. 실크웜은 87년 이란 ... ...
황사 유입량 및 이동 경로 종합측정 착수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일어나 이것이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유입돼 여러가지 피해를 입히고 있다. 안질
호
흡기 질환 등의 인체질환과 함께 먼지가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광합성 작용을 방해해 일어나는 농작물 피해가 지금까지 조사된 대표적인 황사 피해 사례로 꼽힌다 ... ...
그린피스, 한반도 반핵 순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했는데, 결국 일본의 '몰래'작전은 실패하고 말았다. 그린피스가 이번에 타고 온 블랙피그
호
는 지난 해 러시아의 동해 핵폐기물 투기를 고발할 때 동원했던 길이 58.5m, 폭1백 12m의 9백 5t급.국내에 머무는 동안 그린피스는 이 선박을 앞세우고 국내환경운동단체와 함께 핵발전소 주변의 토양과 해양에 ... ...
자동수질측정시스템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과 대한해협을 1주일에 2회씩 왕복으로 조사한바 있다.자동수질측정기술은 앞으로 강과
호
수와 바다에서 환경 감시자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자동수질측정 장치들이 전국의 강과 저수지에 설치돼 낮밤을 가리지 않고 수질자료를 전송해 오게 될 머지않은 장래에는 썩은 양심을 ... ...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점 등은 파충류인 공룡의 특징들이다(시조새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93년 8월
호
참조).사진으로 밖에 볼수 없는 조선 시조새에 대해서는 아직 과학적으로 깊이 연구된 바 없는 것으로 안다. 따라서 우리가 접할 수 있는 것 이라곤 북한에서 공개한 사진이 유일하다. 이 사진은 현재 김일성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우리가 측정한 북극성의 고도 변화를 이용한 천문학적인 방법으로 위도 1˚에 해당하는
호
의 길이는 중심각을 측정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위도에는 (그림6)과 같이 지심위도와 천문학적인 위도가 있다.지구가 완전한 구형이라면 지심위도와 천문학적인 위도가 서로 같겠지만 구형이 아닌 ... ...
PARTⅢ 의료·유전공학·에너지 분야서 2천년대 국가 경쟁력 좌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계통들에서 선발 육성되었으며 송학보리(이리 4
호
)와 긴쌀보리(이리 11
호
)는 방사 6
호
를 이용한 교잡육종에 의해서 육성된 것이며, 안산깨(수원 55
호
)는 90일 참깨를 γ선 조사하여 육성한 품종이다.토양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도 방사선/RI가 사용되어 주로 3대 비료요소 중에서도 작물의 생산력을 크게 ... ...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주노이다.■ 거문고자리 카파 유성군 월몰 후 관측
호
조건이달 22일 월령 11.1일의 달이 서쪽 하늘로 기울어 그 빛을 잃어 갈 때쯤인 새벽녘, 동쪽하늘의 여름철 별자리를 보게 되면 거문고자리 부근으로부터 방사되는 많은 별티들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복사점이 ... ...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더 높은
호
기성 미생물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이와 동시에 대기권의 상부에는 오존보
호
막이 점차 형성돼 지구 전역으로 생물들이 퍼져나갈 수 있는 길이 열렸다.지구에서 생물이 처음 탄생한 후 약 38억년까지 미생물들만의 지구는 처음 약 15억년 동안이었다. 그동안 미생물들은 이산화탄소로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