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나중"(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중기야 넌 누구니? 거중기와 도르래의 과학원리기사 l20140309
- 일한 만큼 돈을 주려면 얼마 만큼 일을 했는지 꼼꼼히 기록해야 했습니다. 농민과 노비들의 한글 이름이 적혀있는 기록서는 나중에 한글이름 연구에 큰 도움을 주기도 했답니다. 예를 들면 윤어떤놈, 박착한놈, 이작은놈, 김큰놈 같은 이름들이 있었습니다. 아마 거중기가 세상에 없었다면 우리의 멋진 문화재인 수원화성을 불 수 없었을 것입니다. 백성들을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영상을 합성해 얻는다. 화성 탐사 로봇에는 각각의 색마다 기준이 되는 색 표준이 들어간 장치가 있으며, 이것을 풍경과 함께 찍은 뒤 나중에 실제 색에 가깝도록 보정한다. 이것을 조작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 화성의 대기에는 미세 먼지가 많아 하늘이 연한 갈색으로 보인다(왼쪽) ... ...
- 사람과 사람이 가까운 세상을 꿈꾸며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유니세프에 어린이과학동아를 1년 동안 보내기로 하셨어요. 어린이들이 어린이과학동아를 통해 과학에 흥미를 갖고 열심히 공부하면 나중에 큰 일을 할 수 있을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으신대요. “과학은 참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과학자들은 다 큰 어른인데도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면 신이 나서 눈빛이 반짝이잖아요. 이런 즐거움을 많은 어린이들이 함께 나누면 ...
- 나누면 나눌수록 커져요!어린이과학동아 l20080630
- ‘어린이과학동아’ 100권을 보내고 싶다고 하셨어요. “과학도 나누면 나눌수록 커졌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사이언스 메세나로 인해 나중에는 온 세상의 모든 아이들이 모두 건강하고 밝은 미래를 꿈꿀 수 있는 거잖아요. 그 때까지 제가 열심히 응원하겠습니다 ... ...
- 눈 깜짝할 사이에 영화 한 편이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물건이 어디 있는지 궁금할 땐 고글에서 이름으로 검색해 찾아 낼 수 있는 거죠. 게다가 고글을 쓰고 보는 장면을 녹화할 수 있고 나중에 이 영상을 되돌려 보며 물건이 어디 있는지 찾아 낼 수 있다고 해요. 앞으로 이 기술은 로봇이나, 많은 자료 중에서 원하는 영상을 찾는 일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소제시작]소행성 아포피스를 ...
- 세종기지 20주년 기념 화상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담당하는 주방장님이 계십니다. 그렇게 총 17명이 함께 생활하지요. 여러분이 이런 분야 중 하나에 관심을 갖고 열심히 공부한다면 나중에 뒤를 이어 세종기지에서 연구할 수 있을 거예요. 찬 님의 말 : 근처에 다른 나라의 기지도 있나요? 서로 친하게 지내시나요? 항상 처음처럼 님의 말 : 세종기지에 주변에는 중국, 칠레, 우루과이, 러시아 등 총 ...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해야 공부 잘하는 나, 공부 잘하는 뇌를 만들 수 있을지 그 비법을 알아보자구! 바로 지금이 그 때! ‘나는 아직 어리니까 괜찮아. 나중에 어른이 되면 열심히 공부할래’, ‘머리는 타고 나는 거니까 아무리 노력해 봤자 소용없다구!’ 이런 생각하는 친구들 정말 많지? 저 말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해. 왜냐 하면 지능, 나이와 뇌 간의 관계가 아 ...
- 꺄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내어 통으로 떨어뜨리지요. 이런 일이 반복되면 까마귀는 동전을 떨어뜨려야 땅콩을 먹을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지요.” “그 결과 나중에는 땅콩을 먹기 위해 다른 곳에서 동전을 물어올 거라는 말씀이군요.” “바로 그거예요! 길거리에 떨어진 동전을 주워서 나는 부자가 되는 거예요. 청소도 하고 돈도 벌고! 이거야 말로 일석이조 아닌가요?” 스키너 상 ...
- 어린이과학동아, 신기한 동물 친구들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모습이 정말 귀여웠어. 특히 조련사 언니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맹금류 조련사셨어. 조련사 언니의 멋진 모습을 본 남희와 현지는 나중에 꼭 훌륭한 조련사가 되고 싶다고 했어. “쪼옥~!” 응? 이게 무슨 소리냐구? 크큭! 바로 준욱이와 청금강앵무가 뽀뽀하는 소리야. 준욱이는 10번의 구애 끝에 청금강앵무와 뽀뽀를 하게 됐단다! 아무나 청금강앵무 ...
- 붉은 보름달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러시아 육군 군의학교와 파블로프생리학연구소에서 개에 대해 연구하며 조건반사 이론을 세웠다. 개에게 먹이를 주면서 종을 울리면 나중에는 먹이를 주지 않고 종만 울려도 개는 침을 흘린다. 개의 뇌가 종소리를 먹이와 연관시키기 때문이다. 파블로프는 이러한 조건반사 이론으로 1904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BIMG_R12}1901년 9월 29일 ...
이전231232233234235236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