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어린이과학동아
"
우주
"(으)로 총 2,65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 학교 과학시간에 만든 나사호에요. 물론 진짜
우주
선은 아니지만요... 양쪽 옆에 있는
포스팅
l
20150105
오늘 학교 과학시간에 만든 나사호에요. 물론 진짜
우주
선은 아니지만요... 양쪽 옆에 있는 고체 연료탱크는 이륙 3분만에 인도양에 떨어진대요. 그리고 가운데에있는 본체는 대기권에서 떨어진대요. ...
저 어제 꿈에서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모두가
우주
선을 타고
우주
탐험을 하러 가는 꿈을 꿨어요
포스팅
l
20141227
저 어제 꿈에서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모두가
우주
선을 타고
우주
탐험을 하러 가는 꿈을 꿨어요~~진짜 어서어서 과학기술이 발달해서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모두가
우주
에 가면 좋겠어요^^ ...
산타할아버지가 어디쯤 오고 있는지 추적할 수 있는 앱이에요. Norad tracking
포스팅
l
20141224
산타할아버지가 어디쯤 오고 있는지 추적할 수 있는 앱이에요. Norad tracking Santa 는 해마다 보고있는데 우리동네 왔다가는데 0.2초밖에 안걸려요. Norad 는 북미항공
우주
방위국이에요. 구글에서도 산타추척앱 있어요 Santa tracker 에요. 게임이 재미있어서. 올해는 이거 쓸거에요 ...
[특집]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212
최근 유럽
우주
국(ESA)이 탐사로봇 ‘필래’를 혜성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어. 이 착륙을 위해 탐사선 로제타는 필래를 싣고 10년 8개월이나 비행했지. 가 창간되던 해에 지구를 떠난 탐사선이 이제야 혜성을 만난 거야. 정말 영화 같은 일이지? 그런데 로제타 탐사선 말고도 영화 같은 일들이
우주
에서 벌어지고 있어. ...
과천과학관에서는 인공위성영상특별전이진행되고있어요 미션지도 풀고 체험활도미수증도 받고
우주
복
탐사기록
l
20141206
과천과학관에서는 인공위성영상특별전이진행되고있어요 미션지도 풀고 체험활도미수증도 받고
우주
복사진도 찍고요~♡ ...
제인구달 박사님과의 만남 국립생태원에서 침팬치의 친구 제인구달 박사님을 만났습니다.
기사
l
20141201
네 번째는 인간의 의지에서 희망을 본다고 합니다. 인간의 의지력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던 많은 일을 해냈습니다. 로켓을 만들어
우주
로 가보기도 했습니다. 인간이 미래를 바꾸고자 마음먹고, 의지를 가지고 있다면 분명 해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인 구달 박사가 늘 가지고 다니는 인형이 있습니다. 바로 원숭이 인형인데요, “미스터 H"라고 합니 ...
미국 THE SPACE MUSEUM 갔다 왔었어요~!
기사
l
20141130
멀리 벽에 있는 별까지도요~! 그리고 행성계의 작동원리를 쉽게 알수있는 체험 기계도 있구요, 또한 제가 잘 딱! 타이밍을 잘 맞추어
우주
과학자 선생님에게 별이 블랙 홀에 가려져 있을 때랑,그때 보이는 현상등을 간단한 실험을 통해 알았답니다~!정말 많은 지식과 경험을 해서 좋았어요~!!! ... ...
[과학뉴스] 로제타, 혜성 착륙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128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
탐사선이 혜성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어요. 한국 시각 11월 13일 새벽 1시 3분, 유럽
우주
국 관제센터는 혜성탐사선 ‘로제타’로부터 분리된 탐사 로봇 ‘필래(위 사진)’가 혜성 ‘67P(아래 사진)’에 무사히 안착했다고 밝혔어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23호(2014년12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
항공
우주
박물관 적극추천합니다
탐사기록
l
20141121
항공
우주
박물관 적극추천합니다 ...
SF영화 'INTERSTELLAR' 를 보고....
기사
l
20141118
오로지 중력을 통해서만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해서 들으면서 인류의 과학이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하면서 온
우주
를 이해한 것처럼 자만에 빠졌다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으로 모든 물리학이 완성되었다고 생각했는데, ‘dark(unknown)’의 영역을 알게 되면서 모르는 것이 더 많은 것을 깨닫고 있다는 것 이예요. 앞으로의 물리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