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d라이브러리
"
기자
"(으)로 총 10,052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
과학동아
l
201602
것은 영 어울리지 않겠죠.사권을 보여주겠다는 필 관장에게 주먹을 지르자 순식간에
기자
의 몸은 그의 옆을 지나쳤고 그의 손날 끝은 제 목 앞에 와 있었습니다. 제 팔을 살짝 밀쳐내면서 방향을 바꾸고 동시에 그 팔을 따라 자신의 팔을 감아올리면서 빠르게 상대에게 손끝을 꽂는 겁니다. “뱀을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02
핵무기로 2차 세계 대전을 끝낸 미국은 전쟁 후에는, 아이러니하게도 핵무기를 걱정하는 신세가 됐다. 이념으로 서방과 갈라선 구 소련과 중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두려워한 것이다. 당시 미국 정치인과 정보부가 고안해낸 해결책은 ‘기술적 장벽’이었다.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이 원체 어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02
수중시체는 하나의 생태계다. 물에 들어간 순간부터 수많은 수중생물들이 시체를 찾는다. 이들 생물의 생태를 연구해 사건이 일어난 일시나 환경 등 수사의 단서를 얻는 것도 수중과학수사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다. 이번 파트는 독자 여러분이 직접 수사관이 되어 바닷가에 나타난 연쇄살인범을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 푸드’ 커피
과학동아
l
201602
오래전 어머니는 “애들은 커피 마시는 것 아니다”라며 겁을 주셨다. 임신을 계획 중인 친구는 태아에 문제가 생길까봐 걱정을 한다. 언론에서는 커피를 적당히 마시면 7년 더 살 수 있다고 말한다. 이렇게 좋은 놈과 나쁜 놈 사이를 오락가락하는 커피, 마셔도 되는 걸까?때는 16세기. 아랍에서는 ... ...
[Tech & Fun] 탈모
기자
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
과학동아
l
201602
20대 중반의 어느 여름. 친구들과 물놀이를 하며 찍은 사진을 보고
기자
는 깜짝 놀랐다. ‘정수리에 왜 이렇게 머리가 없지?’ 그때 알았다. 탈모가 찾아왔다는 걸. 그 ... 과연 크리스티아노 교수는 많은 탈모인들의 염원을 이뤄 주는 ‘탈모 여신’이 될 수 있을까.
기자
도 무척 기대된다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과학동아
l
201602
프리렉 | 224쪽 | 1만5000원어린 시절 여행에 오를 때면, 차 안에서 지루함을 견디지 못하는
기자
를 위해 부모님은 늘 갖가지 퍼즐이 담긴 잡지 한 권을 주시곤 했다. 그 얇은 종잇장 위에 연필로 선을 그려가며 미로를 탈출하고 사라진 돈의 행방을 추적(간단한 퀴즈였다)하는 게 어찌나 재미있었던지, ... ...
[수학뉴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열 확산을 예측하다
수학동아
l
201602
여름철에 우리를 괴롭히는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찜통 같은 더위도 힘들지만, 모기에게 물리면 몸도 가렵고 괴롭지요. 심지어 남태평양 지역이나 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모기는 사람에게 ‘뎅기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옮기기도 한답니다. 뎅기열바이러스가 어떻게 퍼지는지 알 수 있다면 ... ...
[수학뉴스] 초콜릿 분수에 수학이?!
수학동아
l
201602
고백하는 밸런타인데이가 됐습니다.
기자
도 초콜릿을 참 좋아하는데요. 솔로라서 외로운
기자
는 직접 사 먹기로 했습니다.올해는 특별히 초콜릿의 부드러운 맛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초콜릿 분수를 먹기로 했습니다. 분수처럼 솟구치는 초콜릿에 마시멜로나 과일을 찍어 먹으면 초콜릿의 맛을 더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02
만나서 반갑습니다. 전 ‘Mr. 착시’입니다. 본명은 신경 쓰지 마시고, 전 예술가니까 Mr. 착시라고 불러주세요. 착시를 일으키는 작품을 보면 눈이 즐겁지만 직접 만드는 건 어렵다고요? 착시는 수학적인 예술이에요. 보는 사람의 시선을 따라 조금만 계산하면 생생한 착시를 만들 수 있지요.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
수학동아
l
201602
화려한 색채로 묘한 매력을 뽐내는 작품이 사실은 다항식의 근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라면 믿기십니까? 마치 거장의 추상 미술 같은 이 작품은 바흐만 카탄타리 미국 뉴저지주립대 교수가 개발한 그래프 그리는 방법으로 탄생한 다항식 그래프입니다. 대체 어떻게 다항식이 예술작품으로 변했는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