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모험이와 슬기 비행왕 되다
과학동아
l
200208
반대
가 된다. 이것은 풍차 날개가 비틀린 방향을
반대
로 할 때 풍차의 회전 방향이
반대
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만약 날개를 비틀지 않는다면 나무젓가락 비행기는 마치 낙하산처럼 두 날개가 펴진 상태로 아래로 떨어진다.한편 날개의 폭에 따라 나무젓가락 비행기의 운동은 많은 영향을 받는다.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08
이 물살은 장애물 바로 뒤편의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메워주기 위해 물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흘러 들어간다. 즉 역류가 생긴다는 말이다. 여기는 비교적 속도가 작으므로 물살이 센 곳이 아니라면 오히려 안전한 장소가 된다. 장애물의 크기가 상당하고 모양이 물 흐름에 대해 평평하다면 뒤쪽에 ... ...
현실과 90% 똑같은 사이버관광
과학동아
l
200208
만화 속의 세계를 현실에 그대로 재현한 테마파크가 우리나라에도 등장할 전망이다.
반대
로 과학기술에 바탕한 첨단 산업사회로의 진행은 오히려 휴식을 취할 때만은 과학이라는 테두리에서 벗어나려는 수요도 크게 만든다. 따라서 직접 자연을 체험하면서 감성을 자극받는 테마파크가 인기를 끌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08
그래서 가운데 커다란 눈은 먹이를 정확히 잡는데 주로 사용한다. 옆에 있는 두 눈은 정
반대
의 구조를 갖고 있다. 관의 길이가 짧다. 넓게 볼 수 있는 대신에 해상력은 떨어진다. 이 두 눈은 주위를 살피는데 주로 사용한다. 넓게 보는 것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유리할 것이다.사실 ... ...
8월 한여름밤 별똥별 쇼 감상법
과학동아
l
200208
이번에는 유성이 떨어지는 개수를 세어본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유성의 궤적을
반대
로 연장시켜보면 페르세우스자리 부근에 다다르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점이다. 이런 종류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에 속하지 않는 유성으로 산재유성이라고 한다. 산재유성들의 개수는 세지 말아야 한다.유성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08
문제가 될 정도였다. 결국 자세제어 로켓을 이용해 촬영에 방해가 되는 움직임에
반대
로 움직이는 방법으로 놀랍도록 선명한 사진들을 찍을 수 있었다. 나침반 믿을 수 없는 ‘이상한 나라’천왕성은 지금으로부터 2백20년 전인 1781년에 독일의 천문학자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물론 그 전에도 1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08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이면 선은 파장이 긴 붉은색 쪽으로 이동하고(적색이동)
반대
로 우리에게 가까워지는 쪽으로 움직이면 선은 파장이 짧은 파란색 쪽으로 이동하는데(청색이동), 이 현상을 도플러 효과라고 한다. 만일 별이 행성을 지닌다면 그 행성이 별의 주위를 움직일 때, 별도 역시 미세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07
환원헤모글로빈의 흡수도보다 낮다. 눈에 보이지 않은 근적외선의 빛인 9백40nm에서는
반대
로 산화헤모글로빈의 흡수도가 환원헤모글로빈보다 높다. 따라서 이 두가지의 빛을 손톱에서 비춰서 투과된 빛의 비율을 구하면 산화와 환원의 비율인 산소포화도(%)를 구할 수 있다(그림).혈액 속의 ... ...
내 휴대폰 외국에서도 잘 터진다
과학동아
l
200207
이용해 기지국에 보내는 주파수(송신)로 나눠진다. 한국과 일본은 송수신 주파수를 서로
반대
로 사용하고 있다.국내의 경우 SK텔레콤은 8백25-8백50MHz를 수신 주파수로 사용하고 있다. 8백70-8백94MHz대를 송신 주파수로 이용한다. 일본의 경우는 거꾸로 돼 있다. 한국의 송신 주파수가 일본은 수신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07
그리고 남빙양의 표층과 저층의 해수 순환은 기후와 수산업에 영향을 미친다.이와는
반대
로 남극은 문명세계의 영향이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는 곳으로, 지구의 건강을 감시하는 일종의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 가장 대표인 예가 우리가 잘 아는 오존층에 생기는 구멍이다. 오존층은 지상 20-25km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