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6,668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네이도가 온다!
수학동아
l
201007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면
작은
정삼각형으로 4등분된다. 그림과 같이
작은
정삼각형의 한 변에 같은 크기의 정삼각형을 거꾸로 그리고 다시 한 변의 길이가 $\frac{1}{2}$인 정삼각형을 그린다. 이 과정을 반복해 그린 뒤 세 가지의 색을 선택해 칠하면 바람개비 모양의 아름다운 나선이 생긴다. 이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07
현대 천문학이 풀어야 할 중요한 문제 중 하나가 은하들이 어떻게 탄생하고 진화했는가이다. 천문학자들은 슈퍼컴퓨터로 대규모 시뮬레이션을 해 은하의 형성과 진화 과정을 모사하 ... 계속 보시려면?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작은
은하 잡아먹던 ... ...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
과학동아
l
201007
계획하고 있는 초대형 우주범선이 실현되려면 돛 하중률 (단위 면적당 돛의 질량)이 매우
작은
소재가 있어야 한다. NASA의 연구원이 개발 중인 탄소소재를 들고 있다. 뒤에 태양돛의 대각선 길이가 500m에 이르는 초대형 범선의 상상도가 보인다.]미래에는 파피용의 탐험 실현될 수도‘파피용’에서 ... ...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07
현상을 지연시켜 유통기한도 늘어난다.고지방 식품에 첨가한 유화제는 식품에 들어 있는
작은
덩어리 상태의 지방 성분을 막(膜)으로 둘러싼다. 이 막은 서로 섞이지 않는 물과 지방을 오랫동안 혼합된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모리스 박사는 유화제의 나노구조를 바꿔 체내에서 지방의 흡수를 ... ...
실물처럼 정교한 스포츠카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
과학동아
l
201007
다목적 어선을 25분의 1 크기로 축소한 모형.실제 거제도 옥포만에 있는 모델로 제작됐다.
작은
부품까지도 정교하게 표현돼 있다.얇은 나무로 마치 배를 짓는 것과 동일한 공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 ... ...
불멸의 책 남긴 역사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1007
회원들이 그의 글을 무시하고 읽지 않았더라면 레이우엔훅이라는 이름과 그의
작은
세상은 훨씬 뒤에야 세상에 알려졌을 것이다.20년간 수집한 자료로 쓴 다윈의 논문1858년,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은 말레이시아에 있던 영국인 생물학자 알프레드 월러스한테서 온 편지를 읽고 경악했다.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7
않는 도심 속의
작은
하천들을 정비하자는 내용이다. 동네의 실개천을 포함한 이런
작은
하천을 ‘최상류천’이라고 부르는데, 도시에서는 많은 경우 도로로 메워지거나 하수도로 바뀌었다. 이런 최상류천을 다시 하천으로 복원해 물이 흐르게 하면, 그 물이 지류를 거쳐 본류로 흐르면서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07
한 상자 안에는 널빤지 모양의 벌집이 책처럼 꽂혀 있다. 상자 한쪽 아래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수많은 꿀벌들이 기어 나오거나 날아 들어가고 있다. 이 구멍은 꽃꿀이나 꽃가루를 채집하러 가는 벌과 이미 채집하고 돌아온 벌이 집으로 드나드는 대문이다. 상자 하나에는 얼핏 보기에도 7장쯤 돼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07
물갈이 되는 건 어느 시점에서부터일까.마이코플라스마는 박테리아 중에서도
작은
종류로 크기가 약 0.5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이고 세포 하나의 질량은10-13g에 불과하다. 박테리아 10조 마리가 있어야 겨우 1g이다. 세포가 워낙 작다 보니 세포 하나에 들어 있는 총 단백질 숫자도 30만 개 남짓이다. ... ...
무시무시한 식충식물의 밥은 똥?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똥을 먹고 산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습니다.식물학자들은 그 동안 이 식충식물이
작은
벌레뿐만이 아니라 나무 두더쥐도 잡아먹는다고 생각해 왔어요. 그런데 최근 말레이시아 찰스 클라크 박사 연구팀은 네펜테스 라자와 나무두더쥐가 서로 돕는사이란 걸 알아 냈어요. 네펜테스 라자는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