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 과거로 시간여행을 한다는 것은 시공간상에서 출발한 곳으로
다시
돌아와야 한다는 의미다. 빛보다 빠른 물체가 있다 하더라도 일반적인 시공간에서는 출발한 곳으로
다시
돌아올 수 없다. 시간은 한 방향으로 흘러가니 원래 출발한 ... 느리게 흐른다. B를 출발해 시간이 지연된 입구 A로 들어가서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세지기 때문에 모래를 실어 나르는 능력도 커진다. 즉 사막이 커지면 바람이 세지고,
다시
사막이 커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러한 사막 면적의 증폭과정을 ‘사막의 불안정’이라고 한다.전통적으로는 인구 증가에 따른 과경작과 방목, 산림벌채 같은 인간 활동이 사막화의 주범으로 여겨져 왔다.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원자시계를 비행기에 실어 하늘을 날게 한 뒤 비행기 안에 있는 시계가 정말로 더 느려진다는 점을 확인했다.
다시
정리해 보자. 빛의 속도가 관찰자의 운동 상태와 무관하게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시간 지연 효과가 나타나야 한다. ... 만날 수 있는 기계장치를 만들기 시작한다. 이 소설은 1997년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500만 달러에 인수하는 성과를 거뒀다.잡스의 전설적인 협상력은 아이튠즈 뮤직스토어를 서비스할 때
다시
빛을 발했다. 당시 인터넷 불법복제로 직격탄을 맞고 있던 음반사들은 IT 기업들을 적대시했다. 잡스가 MP3 ... 실패할 거라고 단언하면서도 음반사들의 신뢰감을 쌓기 위해서 노력했다. 결국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다릴 치냐며 봉변을 당한 것이다. 이 청년은 승객들에 의해 전동차 끝으로 끌려갔지만
다시
돌아와 폭언을 퍼부었다. 동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가정에서 인성교육을 어떻게 시킨 ... 발파작업을 하다가 철근이 머리를 관통하는 사고를 당했다. 다행히 목숨은 건졌지만
다시
깨어난 그는 성격이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없어요. 인류학을 연구하는 바람직한 자세는 아니지요.”올해 60세가 된 칸 교수는 최근
다시
한번 ‘옆길’로 눈을 돌리고 있다. 언어와 뇌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다. 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언어의 기원을 밝히겠다는 생각이다.“인간의 뇌는 진화 과정에서 두 번의 팽창을 겪었습니다. 여기에 영향을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편집자 주 - 몇 달 만에 ‘전 기자의 로봇 만들기’를
다시
씁니다. 대전 주재 기자로 발령 나면서 연재를 여러 번 빼 먹은 ... 잡고 서고, 그 상태에서 다른 한 쪽 발을 옮겨 내려놓은 다음
다시
균형을 잡는 것을 반복하는 겁니다. 이 이론과 앞서 말씀드린 ... 합니다(착륙). 그리고 무릎과 발목을 ...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3학년 2학기가 가장 중요한 시기야. 이 황금 같은 시기를 놓치면 고등학교 1학년부터
다시
원점이란다. 지금 고1 때 싸울 무기를 축적해 놔야해. 지금이 황금기야. 지금 잘 준비해서 ... 한 번씩 각오를 새로 하면 된다. 빨리 지치지 않으려면 삼일을 공부하고 하루를 쉬고
다시
삼일을 공부하도록 한다.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식는 것은 열량은 같지만 온도가 감소해서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것이다. 떨어진 공이
다시
그 높이만큼 튀어 오르지 못하는 현상도 설명이 가능하다. 운동에너지만 가진 공의 처음 열량은 0이고 엔트로피도 0이지만 바닥과의 마찰로 열량이 생겨 결과적으로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그러나 ... ...
당연한 소재, 새로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통해 과학 실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미 알려진 값을
다시
측정하기 ‘물은 100℃에서 끓고 0℃에서 언다. 중력 가속도는 9.8m/s2이다’는 항상 맞는 ... 고도에 따른 변화가 너무 작아서 실험오차범위가 측정하고자 하는 변화값보다 컸습니다.
다시
말해 고도에 따른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