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MEMS와 의생명공학의 기분 좋은 만남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밸브를 만들었다. 기존 공정과 달리 MEMS 기술은 PDMS의 모양을
유지
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든 PDMS 밸브의 두께는 기존 밸브의 절반 이하다. 딱딱하고 두꺼운 하드렌즈(플라스틱밸브)를 처음 낄 때 눈을 뜰 수 없을 정도로 아프지만 부드럽고 얇은 소프트렌즈(PDMS 밸브)를 ... ...
생태계 변화, 수학으로 미리 안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만들어진 문화재와 가구 등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흰개미, 물고기가 일정 간격을
유지
하면서 모두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어류행동을 연구하고 있다. 논 생태계 모델은 외부기관인 농촌진흥청 과제로 진행하는 별도 연구다.“자연 현상을 컴퓨터에 옮겨 가상의 공간에서 물고기가 돌아다니고, ... ...
Part 3. 삼각형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표시했다. 그리고 측량 도구를 손에 들었다. 준비 완료!A 지점에 서서 측량도구의 수평을
유지
하며 한쪽 눈을 감고 양 쪽 구멍을 통해 학교 건물을 바라보았다. 건물의 정중앙을 바라보고, 측량 도구를 그대로 바닥에 내려 A 지점에서 시작하는 짧은 직선을그렸다. 다시 오른쪽으로 5m 정도(약 15걸음)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4분의 1정도에 지나지 않았다.이는 몸집은 작은데도 고릴라만큼 씹고 먹어야 겨우 몸집을
유지
했다는 뜻이다. 그만큼 먹거리의 영양가가 낮았던 것이다. 반면, 200만~180만 년 전에 새로운 계통으로 발생한 호모 속은 영양가가 높은 동물성 먹을거리에 좀 더 많이 의존해 두뇌 용량이 크게 증가했다. 이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통증은 일종의 경고 장치로, 외부의 유해한 요인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고 생명을
유지
하기 위해 꼭 필요한 증상이다. 뇌는 다른 신체부분과 격리돼 있기 때문에 몸에 있는 일반적인 면역세포가 뇌 안으로 들어올 수 없다.따라서 뇌에 필요한 면역세포를 특별히 만드는데 이것이 바로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분류학 단계인 문(門)을 기준으로 박테리아 종을 묶었다.] [장 미생물의 생태계가 건강
유지
에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익균이 들어있는 프로바이오틱 제품이인기다. 위에서 분해되지 않은 과립에 생균을 넣어 만든 캡슐.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진 자연이나 기계를 축소하면 되지 않느냐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기능은
유지
하면서 크기를 줄이려면 형태가 많이 달라집니다. 형태가 달라지면 재질도 달라지죠. 이 모든 것을 혼자 다 할 수는 없습니다. 나에게 필요한 지식과 사람을 찾는 노력이 필요합니다.”최근 많은 분야에서 융합과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매일 몸무게가 늘어나는 비율이 소와 돼지보다는 곤충이 더 높았다. 곤충은 체온을
유지
하는 데 에너지를 쓰지 않아 먹이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기 때문이다.메탄, 일산화질소는 전반적으로 곤충이 소와 돼지보다 적게 배출했다. 결국 같은 양의 몸무게를 늘리는 데 곤충은 소와 돼지보다 최대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권 단장은 “초전도 자석을 절대 온도에 가깝게 냉각시키는 것에서부터 이 온도를
유지
하며 여러 현상들을 제어하는 기술까지 한두 번 실험해서는 얻을 수 없는 노하우들이 많다”며 “KSTAR를 가진 것만으로도 ITER 공동 연구에서 한국은 기술적으로 우위에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앞으로 2019년이 ... ...
의약품에 숨은 화학 원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몸의 위에서는 위산이 분비된다. 위산은 염산이다. 염산에 의해 위는 pH0.9~2.0으로
유지
된다. 염산은 위의 소화 효소인 펩신의 작용을 도와 단백질을 소화시킬 뿐 아니라 살균력이 강해 위 속 음식물의 부패나 발효를 막아준다. 우리의 위벽은 단백질로 이뤄져 있지만 뮤신이라는 점액으로 덮여 있어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