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징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속성
d라이브러리
"
특성
"(으)로 총 4,15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람의 눈으로 느낄 때 대상물의 크기·형태·빛깔 같은 객관적인
특성
과 눈으로 본
특성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착시는 비정상적인 현상이 아니라 자극을 주의 깊게 관찰하더라도, 지각이 잘못됐음을 알더라도 계속 잘못된 채로 지각되는 본질적인 현상인 것이다.착시는 우리 뇌가 눈에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 있을 뿐이다”라고 말했다. 주위의 다른 새가 내는 소리를 따라하는 휘파람새도 종별
특성
은 유지하는 한에서 개체의 독특한 소리를 만든다는 설명이다.닥터 두리틀은 처음부터 개의 소리를 알아들었을 뿐만 아니라 개에게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도 알고 있었다. 동물과 대화하고 싶은가?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80%가 넘는 학생들이 19단 외우기를 어려워한 것이다. 이 교감은 “앞으로 19단을 수학
특성
화반의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계획이며 전체 학생들에게 확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19단 옹호론자들은 19단은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즉 19단이 나오는 원리를 이해하면 수의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양의 정보를 한번에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일부가 손상돼도 전체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특성
덕분이다.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은 역사적 유물, 의학표본, 건축물 등 장기적으로 기록이 필요한 분야뿐만 아니라 컴퓨터디스크, 개인용 병원기록 등에까지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3년에 소행성으로 우주선을 발사해 표면에 각종 측정기기와 송수신기를 설치해서 물리적
특성
과 지질 구조를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필요한 경우 2014~2024년 사이에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태양풍 돛 이용해 소행성 밀어낸다그렇다면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또는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인정을 받은 교수님이지만 힘든 일도 있었어요. 후에 한국과학상을 받은 초전도체의
특성
에 관한 논문을 미국물리학회에 제출했을 때 처음엔 통과되지 않았다고 해요. 힘 없는 한국의 과학자라고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것이죠. 같은 논문이라도 미국 과학자가 냈을 때와 한국 과학자가 냈을 때 ... ...
부드러운 남자는 집게손가락이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캐나다 앨버타대 피터 허드 박사팀은 대학생 300명의 손가락 길이를 측정하고 인성과 행동
특성
을 검사해 두 조사를 비교한 후 이와 같은 경향을 알아냈다고‘생물심리학’ 3월호에 발표했다.허드 박사는 “이번 연구는 손가락 길이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태아가 받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영양분으로 사용하기 위해 분해하는 등 체내에서 여러 작용을 한다. 식물의 이런
특성
을 이용한 것이 바로 ‘식물을 이용한 환경정화’(phytoremediation)다.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이영숙 교수는 식물의 흡수와 축적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발굴했다. YCF1은 식물이 중금속을 흡수하면 이 중금속을 액포 등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조사하는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 또 지난 2001년에는 극동아시아 지역의 에어로졸
특성
을 조사하는 국제공동연구인 ‘ACE-아시아 연구계획’에서 고산이 종합관측점의 하나로 선정돼 세계의 많은 과학자들이 이곳에서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유엔환경계획은 갈색구름이 초래할 기후변화와 그로 ... ...
사람 피부같은 촉각 센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촉각센서를 개발했다.KAIST 전자전산학과 윤의식 교수팀은 사람의 피부 조직과 기계적
특성
이 비슷한 합성고무 재질(PDMS)을 사용해 사람 손가락처럼 1mm 이상 떨어진 자극을 구별할 수 있는 촉각센서를 개발했다고 1월 30일 밝혔다.이 촉각센서는 한국의 휴보(HUBO)나 일본의 아시모 같은 인간형 로봇의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