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마찰제동을 사용하기도 한다. 부수차는 디스크제동장치를 주로 사용하며 점착
한계
이상의 제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와전류(渦電流·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궤도 브레이크를 사용하기도 한다.고속대차TGV의 대차(臺車)*는 관절대차(關節臺車)를 채용하고 있다. 관절대차는 2개의 차체가 대차 1대를 ... ...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달, 수성, 화성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빨리 식어 약 35억년 이전에 이미 판구조창의
한계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졌고 그 이후에는 판구조운동이 거의 없었음을 보여주고 있다.그러나 금성은 지구와 크기가 유사하기 때문에 비슷한 진화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성의 구조운동을 예측할 수 ... ...
물에 녹여 쓰는 인공적혈구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것이라면 사용할 수 없다. 이들 검사를 모두 마친다 해도 보존기간이 3주에 불과하다는
한계
가 있다. 이 기간이 지나 버려지는 혈액도 적지 않다고 한다.일본의 과학지 '쿼크'에 따르면 최근 일본에서는 수혈의료가 안고 있는 이같은 문제점을 극복하는 인공 혈액 연구가 활발하다고 한다. 의학자와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고 다른 하나는 주파수가 10Hz 이하인 초저주파 음파다. 이들은 모두 인간의 가청음파
한계
를 벗어난 것들. 이러한 동물의 소리를 경청하려면 고감도 마이크로 폰과 고성능 테이프 레코더를 먼저 구비해야 한다.초음파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오래 전부터 수행돼왔다. 19세기에 활동한 이탈리아의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schist), 멜란지(melange) 같은 암체가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그러나 고지자기 해상능력의
한계
로 판들이 짧은 거리를 이동한 것은 밝힐 수가 없고 그 당시에 섭입작용이 있었다 해도 높은 지열로 청색편암이 만들어지기 어려웠을 가능성이 있다(청색편암의 형성은 비교적 낮은 온도와 높은 압력을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 손대신 추적용 모터를 사용하는 것을 '자동가이드'라고 한다.수동가이드에 의한 촬영은
한계
가 있어 보통 초점거리가 3백㎜이상에서는 어렵다. 필름 상의 한 곳에 별빛이 머물게 하여 장시간 감광시켜 어두운 곳까지 나오게 하려면 일주 운동으로 움직이는 별을 추적 촬영하는, 즉 가이드 ... ...
꿈의 '벽걸이형 TV' 실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유지하면서 높은 진공도를 가진다는 것은 역시 어려워서 지금 수준으로는 20인치가
한계
라고 한다. 다만 20-25인치 정도까지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면 그 이상의 대형 플랫 비전의 실현은 시간문제가 될 것이라고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천체 관측에 큰 기여를 했지만 그의
한계
는 '태양계'였다. 그의
한계
가 아니라 그 시대의
한계
였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분명 블랙홀은 뉴턴역학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중력(만유인력)이론으로 부터 예언되고 있다. 어떤 물체가 지구중력권을 벗어나려면 많은 힘이 필요하다. 인공위성을 발사할 때 ... ...
전차 戰車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시속 1백㎞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지 모른다.● 전차포탄의 화력 강화주포의 구경확대가
한계
에 이른 지금 구경은 그대로 유지하고 포탄의 위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연구하고 있다. 포탄은 산탄식 포탄, 유도포탄과 같은 새로운 포탄이나 열화 우라늄과 같은 신물질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 ... ...
PART 1. 문답으로 알아보는 그래픽 상식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많은 차이를 보인다. 데이터를 압축하고 푸는데 따른 속도문제를 비롯해서 컬러의 수용
한계
, 그래픽 파일의 해상도와 컬러수에 따른 확장성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는 개발업체마다 각기 다른 형식을 갖는다. 확장자의 이름으로 각 그래픽 파일의 성격을 살펴보면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