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뉴스
"
결국
"(으)로 총 4,220건 검색되었습니다.
LTE버전 애플워치 출시...KT는 왜 못 쓰나?
2018.06.14
제약받지 않고 전화도 할 수 있는 LTE 네트워크만큼 좋은 것도 없긴 합니다. 애플워치가
결국
이 수요를 따르는 것도 그리 어색한 일은 아니긴 합니다. 비슷한 듯 다른 두 애플워치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통신사인데, 애플워치가 출시되는 지금으로서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만 쓸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두세 시간 뒤로 맞춰져 있는 사람들은 밤 11시에도 각성도가 여전히 높아 잠들기 어렵다.
결국
늦게 잠이 들어도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야 하므로 늘 수면부족에 시달리기 마련이다. 그나마 커피 덕에 낮에 정신을 차린다는 말이다. ‘수면 습관 하나 못 바꾸나?’ 아침형인 사람들은 이들의 호소가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과정에서 발생한 방사성폐기물은 200L 드럼에 담아 경주에 있는 방폐장으로 이송했다.
결국
우라늄 농축 시설을 찾아내는 것이 관건이다. 플루토늄은 추출하기 위해 복잡하고 큰 시설이 필요한 반면 지하 임의의 시설에서 돌리는 원심분리기는 외부에서 확인하기 어렵다. 북한의 비핵화 로드맵이 ... ...
문제행동 덜 하는 아이, 이런 엄마 밑에 자랐다
2018.06.10
“뻔하지만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인 운동 및 건강한 식습관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엄마가 육아에 지치지 않고 아이들을 감정적으로 대하지 않기 위해서는 기본이 지켜져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한 연구결과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의 세계적 출판기업 ... ...
[짬짜면 과학 교실] 바다의 용궁은 무엇으로 지어졌을까?: 용해와 용액
2018.06.09
계속 소금이 쏟아져 나와서 소금과 함께 배가 침몰한 이야기 말예요
결국
도둑들과 함께 바다에 빠진 맷돌은 깊은 바다 밑바닥에 가라앉고 말았지만 맷돌에서는 끊임없이 소금이 쏟아졌어요 이 요술 맷돌을 처음 본 용왕이 말했어요 오! 육지에서 왔다는 소금이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다뤘을 뿐 다른 동물의 뇌가 커지지 않은 이유는 설명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기존 가설이든 새로운 가설이든 명확한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뇌 크기 키우는 3가지 유전자군 있다!...“그 기원 알면 뇌 크기 해답 보일 것” 동물의 뇌 크기에 대해 사회성과 생존 가설, ... ...
[메이커교육 현장]③ 리더십은 곧 영향력이다
2018.06.08
부임한 교장은 그 지역 출신이 아닌 데다 메이커 교육에 대해서 알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교장을 설득하기 위해 왜 메이커 교육이 필요하고 어떤 면에서 좋은지, 어떻게 하면 우리 학교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처음부터 다시 연구하고 설득해야 했다고 합니다. 세계적인 리더십 전문가인 ... ...
머리 큰 인류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2018.06.08
얻었다”며 “그 결과 방사신경교세포 양이 증가하며 대뇌피질의 뇌세포 수가 늘었고,
결국
뇌가 커질 수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팀이 구축한 영장류의 미니뇌 오가노이드. 이 안 세포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사람과 비교해 뇌 크기를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의 활성 및 비활성 여부를 ... ...
[메이커교육 현장]② 장비보다 방식, 공간보다 사람
2018.06.07
교육자의 의견에 귀 기울이고 필요한 부분을 지원해주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교육도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니까요. 오영주 메이커교육연구소장 제공 ※ 필자소개 오영주 (주)메이커스 메이커교육연구소장(yoh@makersi.com)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 교육대학원 티처스 ... ...
[이강운의 곤충記] 시속 50km로 비행하는 나방 박각시를 아시나요
2018.06.06
또 다른 무기이다. 그러나 이런 무기만으로 박쥐를 막아낼 수는 없다. 이리저리 피하다
결국
박쥐의 초음파 공격을 받게 되면 이를 교란시키는 놀라운 방법을 실행한다. 숨을 모아 내 쉬면서 만들어내는 애벌레 숨구멍 소리와는 차원이 다른, 생식기 파악판(Genital valve)을 마찰시켜 만들어 낸 초음파(5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