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립
구성
복합
혼합
동화
합성염료
염료
뉴스
"
합성
"(으)로 총 2,634건 검색되었습니다.
맨손으로 뗄 수 있는 ‘그래핀 스티커’ 개발
2015.07.15
제작 공정이 1000도의 고온에서 진행된 데 비해 이번 기술을 사용하면 100도의 저온에서도
합성
이 가능해 경제적이기도 하다. 감마 알루미나 기판은 그래핀 과의 접착력이 작아 스티커처럼 손으로 떼어내는 것만으로 그래핀을 분리해낼 수 있다. 떼어낸 그래핀 스티커를 광섬유 등에 옮겨 붙이는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인류가 쓰는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191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
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참조). 책을 읽다가 질소고정 박테리아 대부분이 토양에서 독립생활을 한다는 사실에 또 한 번 놀랐다. 숙주식물과 공생을 하면서 질소고정을 하는 박테리아는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설명했다. 갑상선호르몬은 대사를 조절하는 주요 호르몬인데, 판다는 이 호르몬을
합성
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인 ‘DUOX2’에 돌연변이가 생겼다. 팡 교수의 말처럼 판다는 진화적 딜레마에 빠진 것이 아닐 수 없다. 다행히 이런 판다를 돕는 손길이 많다. 중국을 비롯한 세계 연구진의 노력으로 ... ...
“매일 소변과 피만 봅니다”
2015.07.10
완벽하게 잡아낼 수 없다. 과거에는 도핑 약물이 마약이나 흥분제 등 분자량이 작은
합성
화합물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체내 단백질 구조와 비슷한 고분자 화합물도 많다. 소변에서는 고분자 화합물의 농도가 낮아 검출이 잘 안 되므로 혈액검사로 확인할 수밖에 없다. 혈액분석장비에 ... ...
대학 수학 잘 하는 비법은 있을까
2015.07.05
수학은 수리생물학과 관련된 것이다. 수리 생물학에서는 복잡한 생명 과정을 조직하는
합성
분자의 구조와 기능, 바이러스의 형태, 이 땅에 가지각색의 생명을 낳게 했고 지금도 진행 중인 진화 게임, 신경계와 뇌의 작용, 생태계의 역학 등을 연구한다. 더 나아가 생명의 본성과 외계 생명체의 ... ...
기후변화가 ‘성전환 도마뱀’ 만든다
2015.07.05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도마뱀 한 마리가 햇볕을 쪼이고 있는 모습이 담겼다. 사막의 파란 하늘을 바라보며 햇볕의 열기를 느 ... 세포의 세포질에 위치한 누딕스 효소를 다른 식물과 결합해도 모노테르펜 성분을
합성
해 장미향을 재현해낼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 ...
인슐린 생산량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5.07.05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 연구원은 “사람의 miRNA-9를 인공적으로
합성
한 뒤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까지 전달하는 방식으로 비만과 당뇨병을 치료하는 가능성이 열렸다”며 “마이크로RNA는 혈액에도 녹아 있기 때문에 이를 측정해 대사질환을 진단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
달달한 장미향 만드는 효소는?
2015.07.03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진이 이 단백질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장미에서 모노테르펜류가
합성
될 때 효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곽준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식물노화·수명연구단 그룹리더)는 “그간 장미는 꽃의 색깔 등 관상학적인 면에 치중해 육종하면서 ... ...
자일리톨 만드는 ‘슈퍼 미생물’ 개발
2015.07.02
자일리톨을 생산하는 등 발효 효율도 높았다. 이 교수는 “자일리톨의 경우 다양한
합성
수지와 고분자물질의 원료를 만든 데 쓰인다”며 “이 미생물의 유전자를 변형시키면 바이오디젤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물질을 만드는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다른 물질을 붙이면 효소의 기능을 무력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연구진은 후보 물질을
합성
한 뒤 바이러스에서 분리한 단백질 분해효소와 이 물질이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지 실험했다. 그 결과 후보 물질의 양이 충분해서 모든 효소에 달라붙었을 때는 분해효소가 단백질에 달라붙는 기능이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