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승객의 경로를 분석하는 '복잡계' 와 '그물얼개' 이론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그물과 같은 그래프가 됩니다.성신여대 지리학과 이금숙 교수는 “외국에서는 승하차
기록
을 담은 교통카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별 이동경로 자료가 없다” 며 “교통카드를 이용해 승객의 이동경로를 연구한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일” 이라고 밝혔습니다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또한 부등호 기호를 사용하여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그의 연구
기록
은 17세기에 뒤늦게나마 알려져 부등식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세계 기업 GE의 경영자인 미국의 잭 웰치는 “최고의 상품을 최저의 가격으로 팔아야 한다” 며, “고객을 잃지 않으려면 고객에게 더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느끼게 해준다. 그런데 올해는 무더운 여름이 길게 지속되는 것 같더니 추석연휴에
기록
적인 폭우가 발생했다. 이어서 평년에 비해 열흘이나 빨리 첫얼음이 어는 등 갑작스런 추위가 몰려왔다. 기상청에서는 평년의 태풍 발생건수가 약 20건인 데 비해 올해에는 9월 28일까지 12개의 태풍이 발생하는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문이다. 연구에 쓰려면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채취한 뇌 조직과 그 사람의 병력
기록
을 다수 확보해야만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던 2007년 희소식이 전해졌다. 레아 그린버그 박사 이끄는 브라질의 뇌조직 은행이 50~70세의 브라질 백인 남녀의 뇌조직 1600여 개를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언제부터 김치에 쓰였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1614년에 발간된 ‘지봉유설’에 처음
기록
이 나온다. 적어도 국내엔 조선 중기 이전, 임진왜란보다는 앞서 도입됐다는 설이 유력하다. 고추의 품종 역시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가 있지만 김치를 담글 때는 ‘신미종’이라는 한국산 재래종이 주로 ... ...
암은 과거에 없던 현대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일반적인 질병이 아니었던 셈이다.미라뿐 아니라 고대 화석과 고전 문학에서도 암의
기록
을 조사했다. 유방암 수술에 대한 묘사는 17세기에 처음 등장했다.1761년에는 코담배 이용자들에게서 비강암, 1775년에는 굴뚝 청소부의 음낭암이 과학 서적에 처음 등장했다. 공교롭게도 암이 등장한 시기는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누굴까. 기네스북에는 오스트리아의 18살 소년 ‘안드레아 마하비츠’가 1979년에 세운
기록
이 남아 있다. 경찰서 유치장에 홀로 갇혔다가 경찰들이 그가 수감된 사실을 잊어 버렸기 때문에 18일 동안 굶주리다가 빈사상태로 발견됐다. 주변 기온 보다는 체온유지가 관건칠레 광부들은 지하에 갇혀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의대를 지망하며 의료 관련 봉사활동이 의미있어 보이니까 꾸준히 하도록 하고…. 독서
기록
장은 작성하고 있니?” “네. 최근에 ‘자전거 도둑’, ‘쇼펜하우어의 토론의 법칙’, ‘엄마를 부탁해’를 읽었어요.” “서류 전형에서 총 3~5권의 독서감상문을 써내야 하는데 그 정도면 난이도도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두고 전화기 특허를 신청했다. 이 두 시간의 차이가 두 사람의 처지는 물론 역사의
기록
을 갈랐다. 그레이는 1874년 이미 전화기를 공개 시연하며 이름을 날렸지만고작 두 시간 늦었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권리를 벨에게 뺏겼다. 당시 벨이 특허를 출원했던 설계모델은 제대로 작동조차 되지 않는 종이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CD나 DVD보다 용량이 큰 저장 매체를 만들기에 유리하다. 최근에는 빛을 이용해 정보를
기록
하는 광 반도체 집적회로 연구도 활발한데, 플라즈모닉스 기술을 응용하면 처리용량이 더 큰 회로를 만들 수 있다.“최근 연구하고 있는 ‘플라즈모닉 소용돌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면 빛을 약 1000배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