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다른 종 사이에서는 큰 다양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세 명의 피부 미생물 군집은 눈에 띄게 달랐으며(위 사진), 두 사람이 같은 계통의 미생물을 공유하고 있을 확률은 13%에 그쳤다. 또 엄지 손가락과 같은 특정 위치의 피부에 분포하는 미생물이 다른 위치의 피부에서 발견될 확률도 ... ...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활용할 수 있는 분야다. 가장 많이 연구돼 있어 정확도가 높기도 하거니와, 가장 쉽게 눈에 드러나는 특징이기 때문이다. 현재 혈액의 DNA를 이용해 가장 정확하게 연령 추정이 가능한 모델은 미국 UCLA 생물통계학과 스티브 호바스 교수가 2013년에 발표한 모델이다(과학동아 5월호 특집 기사 참조). ...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신설● 공대, 자연대의 전공 특징과 진학 노하우, 교과과정, 헤드헌터가 바라본 전망을 한눈에 볼 수 있게 구성했습니다. 관련한 기사도 함께 볼 수 있어요.● 서울대 공대, KAIST, DGIST, UNIST, GIST, POSTEC 등 주요 대학의 연구실을 탐방한 기사를 만날 수 있습니다. ‘노벨상 공장’인 세계의 연구실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것이 블록체인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기는 하나, 간단하고 편리한 선거 절차가 먼저 눈에 띈다. 에스토니아가 공개한 투표 영상(오른쪽)을 보면 마치 미래의 세상처럼 컴퓨터에 ID 카드를 인식시키고 선거 시스템에서 후보자를 선택하면 끝이다. 시간에도, 장소에도 구애 받지 않는다. 새벽부터 몇 안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훈련을 해 보세요. 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때 논리적인 것에만 신경 쓰지 말고 상대방과 눈을 마주치며(시각), 목소리를 느끼고(청각), 손을 잡는 등 스킨십을 통해(촉각) 상대방의 기분이나 감정 상태를 파악해 보는 거예요. 요리도 훌륭한 오감 훈련이 됩니다. 그림 그리기도 좋습니다. 일반적인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겹쳐지면 전체적으로 빛도 증가한다. 그 결과, 대기광의 강도가 수 배로 강해지면서 눈에 보일 정도가 됐던 것이다(doi:10.1002/2017GL074014).전 지구에서 밝은 밤이 일어날 확률은 3.5%흥미로운 것은 일평생 매일 밤 하늘을 관찰한 레일리 경도, 밝은 밤을 단 한 번 봤다는 점이다. 그만큼 드문 현상이다.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주사위로 길 찾는 헨젤과 그레텔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둘에게는 세 가지 선택지가 놓여있다. 첫 번째는 지금 당장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눈을 보고 길을 찾아 떠나는 것이다. 만약 3이 나오면 지금 3번째 길로 출발한다. 두 번째는 내일 새의 힌트를 듣고 두 길 중 하나를 골라 출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모레까지 기다렸다가 새와 함께 올바른 길을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 수학경시대회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풀리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세상에 마법 같은 건 없었다.그때였다.하림의 눈에 천장이 들어왔다. 천장에는 격자 무늬가 있었는데, 그 무늬를 보자 문득 떠오르는 게 있었다. 데카르트라는 지구에 살던 옛날 수학자와 얽힌 이야기였다.‘데카르트라는 사람이 이렇게 누워서 천장을 보다가 ... ...
- [과학뉴스] 시선이 어디로 갈지 유전자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방법을 찾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연구에 따르면 생후 2~6개월부터 사람과 눈을 잘 마주치지 않는 아이는 자폐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7월 1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doi:10.1038/nature2299 ... ...
- [Origin] 개를 위한 예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채운 거대한 사료 그릇과, 개가 볼 수 있는 노란색과 파란색 계열로 그려진 그림을 개의 눈 높이에 전시했다. 물줄기를 뿜는 그릇도 설치했다.발명가답게, 전시의 압권은 거대한 선풍기 전시물이었다. 노란 선풍기 뒤로 숲 그림이 흐르게 장치를 만들고, 선풍기 앞에는 창문 부분이 뚫린 자동차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