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만일 탄소에너지 없이도 왕성하게 증식하는 미생물이 있다면 발효산업이 획기적으로
발달
할 것이다. 그런데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잘 선택해 게놈을 분석하면 이런 일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드넓은 바다를 순식간에 붉게 만드는, 즉 적조를 일으키는 조류가 좋은 후보다. 이 조류는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유인원의 차이를 유전자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게 해주고, 진화과정과 고등 인식기능의
발달
과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으로 전망된다.미국의 경우 앞으로 2년 후에는 모든 경찰차에서 DNA칩을 용의자 확인에 쓰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DNA칩은 이처럼 질병의 검사와 치료 차원 외에도,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유전자가 여러개이거나 아직 밝혀지지 않은 질환들이다.어째서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달
하고 있는 요즘에도 아직 이렇게 모호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을까? 생물학의 중요한 기본 개념인 중복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고등생물에는 한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가 ... ...
② 가정 생활과 복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달리 할 수도 있다.● 2009년◎재택 진단 시스템이 이뤄진다.◎VR 기술과 원격 진료 기술이
발달
해 원격 수술 시스템도 보급된다(2011년).● 2010년입체안경을 끼지 않고 텔레비전을 3차원으로 즐길 수 있다.● 2012년태양열 주택이 보편화되면서 에너지 소비가 현재의 절반 이하인 에너지 절약형 주택이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는 암의 사례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자.하루가 다르게 현대 의학이
발달
하고 있지만 암은 아직도 뾰족한 해결책이 없는 난치병이며 현재 가장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앞으로 10-25년 내에 암의 진단과 예방, 그리고 치료가 모두 완벽하게 이루어져 암의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생활의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약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21세기에는 의학의
발달
로 인간의 평균수명은 더욱 연장될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수명이 늘어난다고 해서 사람이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다. 수명이 연장된 만큼 노화와 함께 찾아드는 암, 심장병,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치명적인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여겨 지진예측기관에 보고했다. 결국 그날 정오 경에 규모 7.4의 지진이 발생했다. 감각이
발달
한 동물들이 지진이 일어나기 전 미세한 땅의 변화를 지각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됐다.또 한번의 성공사례는 1975년 규모 7.3의 해청(Haicheng)지진이다. 이때는 지표가 서서히 경사되는 현상이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활동에 중요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으로 일기예보와 기후예측 기술이
발달
돼 기상재해의 피해에서 해방되고 기상예측정보를 100% 활용할 수 있는 날을 기대해본다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움직임을 조정하고 움직이는 물체에 관한 시각정보를 조화있게 조절하는 부분이 잘
발달
돼 있다. 이러한 능력은 트루돈(Troodon)같이 매복해 도마뱀이나 포유류를 사냥하는 민첩한 공룡에게는 필수적이다. 트루돈의 눈은 매우 크며, 몸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큰 뇌를 가지고 있어 현생 조류와 ... ...
2. 과학으로 해부한 6가지 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있고, 그 능력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한 사람은 사랑을 잘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발달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사랑의 능력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유아기에 부모에게서 받은 사랑이 사랑이라는 건축물의 기초를 제공한다. 즉 부모와 가진 신체적인 접촉과 정서적인 유대가 사랑의 출발점이라는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