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등 모든 과정들이 관여해, 작은 변화도 맛과 향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다”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질소 역시 맛 분자를 변화시킨다는 것이 정설이지만,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특정한 관계가 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느린 입자들의 경우, 에너지 E와 운동량 P 사이의 관계는 E=P2/2m(m은 입자의 질량)이다. 그런데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 기체(크롬, 에르븀, 디스프로슘 등. 단일 원소로서는 가장 큰 자기 쌍극자 모멘트를 가진 원소들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로 만드는 데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크게 증가시켰다.또 기존 나노발전기의 내부가 2개 층으로 나뉜 것과 달리, 연구팀은 그 사이에 금속층(접지층)을 넣어 효율을 높였다. 구멍이 셀 수 없이 많이 뚫린 실리콘 스펀지에 압력을 가하면 전기를 만들 수 있는데, 여기에 접지층을 넣어 발전기 내에서 전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만든 셈이다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암을 궤멸시킬 방법을 반세기전부터 고민해왔다. 면역세포들을 활성화시키는 사이토카인을 직접 주사하거나, 환자의 종양침윤임파구를 분리해 실험실에서 활성화시킨 뒤 다시 환자에게 주사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두 가지 큰 문제가 있었다. 면역체계가 암세포만을 대상으로 ...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난 2월에 발표된 미국 듀크대 존 폴슨 교수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14년 사이 둥근귀코끼리의 80%가 사라졌다고 해요. 모두 밀렵꾼들의 사냥 때문이지요. 일리 넌 잠을 거의 안 잔다며? 비결이 뭐야? 코끼리 그것도 밀렵꾼들 때문이에요. 늘 주변을 경계해야 하니까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털이 송송~!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끝이 뾰족하면서 약간 말려 있고, 뒷면엔 털이 송송 나 있답니다(아래 작은 사진).3~5월 사이에 부모님과 함께 등산을 간다면 낙엽이 많이 쌓인 숲 쪽을 관찰해 보세요. 노루귀는 낙엽이 떨어져 비옥해진 토양을 좋아하거든요. 흰색, 분홍색, 보라색 꽃이 잎보다 먼저 나기 때문에 쉽게 발견할 수 있을 ... ...
- Intro. 벌레야? 로봇이야? 사이버그(bug)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안녕? 우리는 지구 최강의 생존력을 자랑하는 바퀴벌레 가족이야. 지금 저기서 피자를 먹고 있는 바퀴벌레가 48, 51, 55번째 형이랑 59번째 누나지. 음식을 구하러 나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벌레의 능력 1장애물을 만나도 거침없이 빠르게!▶중요 기술 삼각형 모양으로 걷기 바퀴벌레나 파리 같은 곤충들은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빠르고 안정적으로 움직 ... 반한 벌레의 능력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부드럽게, 더 부드럽게!흔히 ‘로봇’이라고 하면 ‘딱딱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기계장치’가 가장 먼저 떠올라요. 강한 로봇을 만들어야 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 ... ...
- 몸이 먼저 반응하는 곳, 서울시립과학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계단을 하나 더 올라가야 한단다. 옆에는 이런 숫자가 보였다.√2. 그곳은 1층과 2층 사이 √2층이었다. 모두가 쉽고 빠르게 위치를 찾는 것보다 재밌게 실패해서 √2를 배우는 게 과학관의 목표인 걸까. 이정모 관장은 “과학은 몸으로 익히는 것”이라고 말했다.‘메이커 스튜디오’는 이런 취지를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