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청사진
도면
평면도
도표
투시도
배선도
플랜
d라이브러리
"
설계도
"(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40일 통화대기, 20시간 연속통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배터리 충전 요망!’‘배터리 용량 부족!’‘지금 저장하지 않으면 데이터 손실!’휴대폰이나 노트북을 사용할 때 나타나 가슴을 섬뜩하게 만드는 경고 메시지다.각종 신기술이 등장하는 21세기는 충전 없이 오래가는 새로운 전지기술이 주도하지 않을까.휴대형 정보통신기기는 단순한 통화 기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오늘날 두다리가 절단된 장애인도 의족 덕분에 각종 스포츠를 즐긴다. 의사는 내시경, MRI와 같은 각종 첨단 의료장비를 이용해 수술하지 않고도 환자의 체내를 들여다본다. 의공학의 눈부신 발전 덕분이다. 의공학은 과연 어떤 학문일까.지난 4월 5일 2001년 프로야구 개막전이 열리는 잠실 야구장. ... ...
혀에 부착하는 방향지시장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사람의 혀에 부착하는 최첨단 방향지시장치가 미국 위스콘신대 과학자들에 의해 개발됐다고 영국의 BBC 방송이 3월 15일 보도했다.이 장치는 뉴사이언티스트 최신호에 소개돼 있으며, 시각장애인과 심해 잠수부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미국 위스콘신대 연구팀이 개발해 시험을 완료한 이 장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99% 밝혀졌지만, 의미가 있는 유전자는 개수도 모를 정도로 시작단계에 불과하죠. 현재
설계도
만 얻은 상황입니다.홍박사_ 휴먼게놈프로젝트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질병에 대한 예방과 암의 정복 등 인류의 복지 증진을 위해 계획된 것입니다. 돌리의 복제 등 생명공학에 대한 놀라움 등이 터져 ...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거미줄, 딱정벌레와 전복의 껍질, 상어 지느러미, 인간의 뼈….자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물들이 갖고 있는 물질이다.그런데 이들 재료가 과학자들이 부러워하는 첨단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면….자연에 숨겨져 있는 첨단 소재들을 만나보자.“가볍고 질기고 신축적인 첨단 소재가 독일에서 개발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것이다.실제 공사현장으로 관심 이동DNA가 건축설계사무소에 보관돼 있는 건물 전체의
설계도
라면 mRNA는 실제 공사현장에서 해야할 작업을 알려주는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DNA는 세포핵 안에 남아 있고 유전자 정보를 지닌 mRNA가 세포핵을 빠져나가 세포질 안에서 단백질을 만들기 때문이다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지난 2월 12일 새벽 3시 1분 52초(미동부시간) 자동차만한 탐사선이 울릉도 크기의 소행성 표면에 안착했다. 역사상 최초로 소행성에 착륙한 것이다. 주인공은 미국의 소행성탐사선 니어-슈메이커. 니어-슈메이커가 안긴 소행성은 사랑의 신을 뜻하는 에로스였다.사실 니어-슈메이커는 착륙용으로 설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2001년도 이공계 대학 진학을 위한 심층면접 내용이 화제가 되고 있다. 단순히 교과서에서 암기한 지식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과학분야에 대한 통합적 사고를 요구하고, 실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을 강조한 질문들이 대거 등장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1월 15일 치러진 서울대 심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일본에서 처음 시작한 감성공학은 국내에도 일찍 알려져 이미 다른 선진국보다 빠르게 시작됐다. 1995년 시작한 G7 감성공학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미래를 내다보고 남보다 앞서서 시작한 감성공학에 대한 연구는 과연 어디까지 왔을까.자동차를 타고 집안에 들어서자 차고문이 자동으로 열린다. 차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가 태평양에 수장된다. 이것은 헤비급 인공위성이 맞이하는 최후의 모습이다. 인공위성이 겪는 또다른 최후는‘우주쓰레기장’에버려지는 것이다. 하지만 위성이 늘어날수록 우주쓰레기는 넘쳐날 전망이다.지난 1986년 발사해 15년째 지구를 돌고 있는 무게 1백40t의 우주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