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8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② 안구운동 보고 사시 검사하는 안과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이상이 생긴 뒤 사시가 발생한 사람도 있다. 신경질환으로 인해 안구운동을 담당하는
뇌
신경이 마비돼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심한 경우에는 보톡스를 맞아 근육을 약화시키거나, 외과적인 수술을 해야 한다. 눈 근육을 안쪽 또는 바깥쪽에서 잘라 당겨서 봉합한다. 하지만 매우 심각해지기 전에 ... ...
알츠하이머와는 다른 새로운 치매 유형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하지만 이미 수년 전에 과학자들은 부검을 통해 돌연변이가 생긴 TDP-43 단백질이
뇌
에 쌓여 있는 것을 발견했다. 학계에서는 이 돌연변이 단백질이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고 결국 전두엽이나 측두엽을 퇴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온몸의 근육이 서서히 마비되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 ...
[과학게시판] 한국연구재단, 올해 첫 즐거운 이동과학교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융합연구로 신개념
뇌
자극 시스템의 신체증강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나노입자 비침습
뇌
자극 원천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서울 포스트타워에서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 대상으로 ‘2019년도 ICT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사업은 ... ...
"게임 중독은 병이 아니다" 국내 43곳 단체 WHO에 의견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이 게임에 중독되면 기억력과 집중력 등 인지능력과 관련된
뇌
파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정신의학회지'에 발표한바 있다. 하지만 반대의견도 많다. 서명에 참여한 국내 게임 단체들은 WHO 의견 수렴 사이트를 통해 "게임 중독을 ... ...
신장이식 거부반응 10분만에 알아내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신장 조직 슬라이드 200개를 면역염색한 데이터를 AI에게 학습시켰다. 이 AI에는 사람
뇌
의 신경망을 흉내 내 이미지를 학습할 수 있는 기술(CNN)을 적용했다. 연구팀은 추가로 신장 조직 슬라이드 180개를 이용해 실제로 AI가 거부반응을 찾아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슬라이드를 보고 신장이식 ... ...
시각장애인도
뇌
시각 영역 활용해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뇌
가 어느 부분이 변하는지 뿐 아니라 어떤 종류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봄으로써
뇌
가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확장할 수 있다”며 “연구에 참가한 시각장애인 중 한 명이 ‘다른 사람들이 눈으로 볼 때 나는 귀로 본다’고 말한 것처럼 이번 연구가 시각장애인들이 세상을 어떻게 ... ...
SF가 현실로… 인공
뇌
가 ‘의식’을 갖는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기술, 머리 이식 등의 중요한 윤리적 쟁점을 다루고 있다”고 말했다. 신경윤리학자들은
뇌
분야 쟁점들이 서로 긴밀히 연관된 만큼 긴 안목에서 폭넓게 다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류 교수는 “몸을 원하게 된 인공지능(AI)의 등장이나 인공 자궁을 통한 출산, 인간 복제, 기억 저장, 신체 대체 등은 ... ...
스트레스 받을 때 폭식하는 건 인슐린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통해 인슐린이 편도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면서 "이외에도 인슐린이
뇌
의 어느 다른 영역에 작용해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이정아의 닥터스] "조현병 환자의 강력범죄 책임 국가가 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조현병 환자의
뇌
는 물리적으로 많이 위축돼 있다. 치료를 받지 않은 채 시간이 흐르면
뇌
가 점점 더 위축된다. 이렇듯 최근 전 세계 정신의학계에서는 정신질환을 조기에 발견에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대세다. 하지만 현 국내 법률 상황으로는 정신질환이 악화될 때까지 방치했다가 심각한 ... ...
뇌
신경신호 읽어 ‘목소리’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피질에 흐르는 전기 신호를 읽어 신호와 음성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이어 연구팀은
뇌
의 발성 신호를 바로 음성으로 합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입술을 크게 동그랗게 벌리고 목젖을 열며 성대를 떠는 움직임과 관련된 신경 신호를 감지하면 ‘아’ 발음이라고 인식해 해당 발음을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