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8,9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05
것은 지난 1만 년 동안 가축이 없었다면 인류는 지금과는 아주 많이 달랐을 거라는
점
이다.우리는 이제 가축 때문에 행복하지만 가축도 그럴까. 지난 겨울 한반도에 불어 닥친 구제역으로 사람과 함께 살던 소, 돼지 350만 마리가 땅에 묻혔다. 열 집 중 한 집이 자식처럼 기르던 개를 내다버린다.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05
모습이다. 장엄한 생명의 합창이 들릴 것 같은 이 사진은 애기장대가 자라는 모습을 공초
점
현미경으로 확대한 장면이다. 연구진들은 세포분열 장면을 연구하기 위해 형광단백질 유전자를 넣어 발현 여부를 관찰했다. 세포 외곽을 알 수 있게 세포막에 반응하는 형광물질도 사용했다.[신경세포의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05
다이빙 룸, 연구자 생활지원시설이 들어선다. 과학기지는 무인으로 운영되지만 시스템
점
검을 위해 연구원과 기술자 등이 얼마동안 머무를 수 있다. 임시 상주할 수 있는 인원은 40명 정도. 8명이었던 이어도 과학기지에 비해 늘었다. 또 과학기지 시설 중 일부는 학생과 일반인의 교육 공간으로 ... ...
에너지 해결책 찾아 지구 한바퀴
과학동아
l
201105
고수’들과 직접 부딪힌 뒤 얻은 결론이기 때문이다.이 책을 읽으며 한 가지 아쉬운
점
은 우리나라 사례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우리에게도 세계적 수준의 핵융합 기술과 변산공동체 등 에너지 자립 마을이 있는데도 전혀 소개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이웃 일본과 중국, 홍콩 등 다른 아시아 국가의 ... ...
과학기자, PD는 어떤 사람이 될까?
과학동아
l
201105
친구들을 이끌고 어딜 가든 호감있는 사람으로 꼽히는 건 큰 장
점
이야. 하지만 그런 장
점
도 성실하게 네 역할을 다 했을 때 빛나겠지.” 그렇다면 이제 L학생은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지금까지 손놓고 있다가 이제와서 달려든다고 해낼 수 있을까? 이런 현실이 두려워서 외면해왔던 이유도 없지 않을 ... ...
실험으로 이론을 확인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201105
측정할 수 있을지를 고민한다면 연구활동으로 발전할 수 있겠죠. 그 과정에서 느낀
점
들을 함께 기록한다면 값진 활동이 될 것입니다.다음의 연구 보고서를 쓴 학생들은 히터를 켠 교실에서 창문을 열었을 때 교실 온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호기심을 가졌습니다. 그래서 ‘온도장’이라는 ... ...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
과학동아
l
201105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가 있다. 2002년 이후 백두산의 고도가 10cm 정도 높아졌다는
점
이다.과학자들은 화산분화의 전제조건인 마그마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일어나며, 산의 고도와 표면 온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뮬레이션 분석을 해보니, 백두산의 대규모 분화는 수백만 톤의 화산재를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5
전혀 하지 않은 완전히 자연 그대로의 균이기 때문에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
점
이 있다고 해. 연구팀은 이 균근이 어떻게 식물의 성장속도를 빠르게 하는지에 대해 더 연구할 계획이란다.에너지 문제를 해결한다! 흰개미와 공생 박테리아과학자들은 흰개미의 장 속에서 공생하며 살고 ... ...
0을'러브'라 부르는 테니스
수학동아
l
201105
서비스 박스를 벗어나면 두 번째 서브를 넣는다. 두 번째 서브까지 실패하면 상대 선수가
점
수를 얻는다. 첫 번째 서브는 대부분 강하게 넣는다. 하지만 두 번째 서브는 꼭 성공시켜야 하기 때문에 속도보다는 공에 회전을 걸어 구석을 노리는 경우가 많다. 강한 서브가 유리한 이유강한 서브를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04
그 뒤로 MMI 진도를 채택했다. 진도는 리히터 규모와 헷갈리지 않기 위해 로마자나 소수
점
이 없는 정수로 나타낸다.일부 언론에서 ‘진도 9.0’으로 쓴 것은 진도와 규모를 혼동한 결과다. 3월 11일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9.0, 진도는 일본의 많은 지역에서 6- 이상으로 나타났다고 써야 정확하다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