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임신하고 있는 복제아기는 각각 임신 27주와 28주라고 밝혔다.또 안티노리 박사는 복제된
남아
를 초음파로 검사해본 결과 체중 2.5-27kg으로 아주 건강한 상태라며, 출산할 때까지 아무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90% 이상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복제아는 어떤 기형적인 징후도 갖고 있지 않다며, 자신은 이번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역할은 단지 피해자나 용의자의 신원을 확인해주는데 그치지 않는다. 사건 현장에
남아
있는 핏자국이나 그 퍼진 모양에도 많은 단서가 담겨있다. 핏자국에 대한 분석은 ‘액체인 혈액은 몸에서 떨어질 때 물리적인 법칙을 따른다’는 간단한 사실에 근거한다. 핏방울이 위에서 아래로 수직으로 ... ...
버뮤다 삼각지대 비밀 푸는 열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위에 있던 배는 순식간에 통째로 가라앉고 만다. 아무 흔적도 없이. 오랜 세월 미해결로
남아
있던 버뮤다 삼각지대의 불가사의한 실종사건들도 가스 기포 때문에 발생했다는 설명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윗치홀의 트롤선 침몰 뒤에는 아르키메데스가 벌거벗고 “유레카”라고 외친 이후 너무나 잘 ... ...
'코끼리 인간' 베일 벗겨진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 또한 신빙성을 얻을 수 없었다. 한편 지난 1996년 미 국립보건원은 런던 왕립 병원에
남아
있던 메릭의 유해를 X선과 CT촬영으로 조사한 결과 그가 ‘프로테우스 신드롬’이라는 희귀병을 앓았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이런 상황에서 메릭 자손의 DNA검사는 그동안 감춰져 있던 메릭의 정확한 병명을 ... ...
2. 현재 우리은하는 충돌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밝혀지기 시작한 결과에 의하면 우리은하에도 은하 충돌과 관련된 다양한 흔적들이
남아
있다. 은하 충돌의 역사에서 우리은하는 피해자라기보다 오히려 가해자의 입장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은하는 주변의 왜소은하들을 집어삼키는 ‘괴물’인 셈이다.1994년 영국 왕립그리니치천문대의 ...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발견하는데 기여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이처럼 태양은 아직도 관측할 만한 여지가
남아
있는 미지의 천체다. 태양의 비밀을 풀기 위해 이카루스처럼 날아간 탐사선들의 여정을 좇아가보자.태양은 우주의 다른 별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표본이다. 지구에서 태양 다음으로 가장 가까운 별인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간직한 기포●● 지난 여름 시원한 바다에서 들었던 파도소리는 우리의 가슴에 오래도록
남아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그런데 찰싹거리는 파도소리에 대한 비밀이 기포로 설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2002년 8월 22일자 ‘네이처’에 발표됐다.미 스크립스해양연구소의 물리학자인 그랜트 딘과 데일 ... ...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연석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편찬된 문헌에서 신기전의 설계도까지 찾아내 국내외 학계에 보고했다. 이것은 현재까지
남아
있는 옛 로켓 설계도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라고 한다.더욱 놀라운 점은 이 설계도에 사용된 길이의 단위 중 0.3mm에 해당되는 아주 작은 ‘리’라는 단위가 발견된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 ... ...
1. 지능 높은 로봇비행기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좋은 사례 중의 하나다. 한편 맥기어 박사는 그대로 인시투 그룹 사(Insitu Group)에
남아
에어로존데보다 훨씬 뛰어난 후속 기종인 ‘시 스캔’(Sea Scan)을 개발해 기상관측뿐만 아니라 어군탐지나 해안경비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홍보하고 있다.또 일본에서는 완전히 자동으로 조종되는 ... ...
올 겨울 슈퍼 독감 상륙 경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위해서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도록 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돌연변이 바이러스가 최대 위협독감은 예방접종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독감 바이러스의 항원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예방효과가 작고, 면역 지속기간이 3-6개월에 불과하므로 매년 접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