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운용 가능. 여단급 기계화부대에 배치.지뢰탐지·제거 로봇 - 2015년 이전무게 4.8톤.
땅
속에 박힌 불발탄이나 대인지뢰, 대전차지뢰 탐지, 제거. 무선 영상 데이터 송신. 미국의‘미어캣’(Meercat)과 유사. 여단급 공병부대에 배치.국방 '기술 독립' 선언백곰(NHK-1)개발 1978년용도 지대지(地對地)미사일. ... ...
현미경으로 보는 바람떡, 싸리버섯, 보석 꽃가루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긴 모양의 관이다. 다발 안에 관 모양의 조직이 보인다.새싹 _입선최진희 ·청주대성고
땅
위로 하나둘 머리를 내미는 새싹들의 생명력은 언제나 경이롭다.금어초(Antirrhinum majus)의 잎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해 초록색을 입혔다. 배율은 260배. 마치 잎 표면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습이다.엄마도 널 ... ...
기름
땅
에 꽃이 필까?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하고 있다.반환기지의 토양오염 문제는 정치외교적인 문제를 떠나 생명의 시작인
땅
을 보존해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논쟁보다는 과학기술의 해법을 찾으면서 차분히, 그리고 철저히 대처해야 한다 ... ...
초음파가
땅
을 정화하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오염된 토양을 초음파로 정화하는 방법이 호주 CSIRO 산업물리연구소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 연구는 지난 9월 6일‘뉴사이언티스트’온라인 판에 소개됐다.정유공장이나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해 지금까지 화학처리와 태우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이는 또 다른 유독물질을 ... ...
6층 보다 높은 곳에서 떨어져야 안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펼친 뒤 자신은 바닥과 충돌하기 10초 전에 낙하산을 펼쳤다. 의식을 잃었던 동료는
땅
에 닿기 직전 몸을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심하게 다쳤지만 다행히 목숨은 건질 수 있었다.스키선수는 스카이다이버와 반대다. 되도록 끌림힘을 줄여야 재빨리 비탈을 내려올 수 있다. 끌림힘을 덜받으려면 ... ...
다시 열린 철의 실크로드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불어와 철로가 망가지는 등 문제점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얼어붙은
땅
이 점점 녹으면 칭짱철도의 안전성은 크게 위협받는다. 오염되지 않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차내에 오물수거 시스템까지 설치했지만 효과는 미지수다. 끈질기게 독립을 요구하고 있는 티베트에 한족이 대거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이런 사실은 물체를 수평으로 던져보면 알 수 있다. 물체를 천천히 던지면 물체는 곧
땅
에 떨어지지만 점점 더 빠르게 던지면 물체는 더 멀리 날아가 떨어진다. 그러다가 물체가 그리는 궤적이 둥근 지구 표면과 나란해지면 물체는 지구 중력에 의해 떨어지더라도 지표면에 닿지 않고 계속 지구 ... ...
동요나라 과학메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불까. 그것은 강과
땅
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여름 한낮에 햇빛이 쨍쨍 내리쬐면
땅
의 온도는 많이 올라가지만 강은 상대적으로 적게 올라간다. 이런 온도 차이 때문에 공기가 움직여서 바람이 만들어진다. 온도 차이가 많이 날수록 바람은 더 강하게 분다.즐겁게 춤을 추다가그대로 ... ...
화산이 폭발할 때 음악이 흐른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폭발할 때 생기는
땅
울림 속에 섬세한 멜로디가 숨어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이탈리아 카타니아대의 로베르토 바베라 교수가 시칠리아 섬에 있는 에트나 산이 화산 폭발하기 전에 보였던 움직임을 청각 자료로 바꾸자 ‘악보’가 나타났다고 지난 8월 10일 ‘뉴사이언티스트’ 온라인판이 보도했다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전쟁무기로 투입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발명품도 꽤 많다.성을 공략하기 위해 해자(垓字,
땅
을 파서 도랑처럼 만든 성의 경계)의 물을 끌어올려 빼는 양수기는 원래 아르키메데스가 버드나무를 깎아서 만든 장치를 개량한 것인데, 레오나르도는 지름을 줄인 호스를 여러 개 묶는 방식으로 흡입력을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