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d라이브러리
"
변화
"(으)로 총 7,906건 검색되었습니다.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해양대기연구소 웬주 차이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지난해 1월 ‘네이처 기후
변화
’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90년까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슈퍼 엘니뇨 수는 지금보다 2배나 더 많다. 14~18년에 한 번씩 발생하고 있는 슈퍼 엘니뇨가 미래에는 7~9년에 한 번씩 찾아온다는 의미다.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루고 있는 상태의 W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거시적인 세계에서는 컵이 깨지는 방향의
변화
만 관찰된다. 엔로피 증가의 법칙이라고도 불리는 열역학 제2 법칙은 결국 “일어날 가능성이 큰 일은 일어나기 마련이다”로 바꿔 부를 수 있다. 어찌보면 당연해 보이는 이 평범한 문장이 볼츠만이 ... ...
카멜레온 피부색
변화
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방패 역할을 한다고 해요. 연구팀은 앞으로 홍색소포층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무늬
변화
가 일어나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투과전자현미경 : 얇게 자른 조직의 내부 구조를 전자선을 이용하여 확대해 볼 수 있는 현미경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대책을 찾아드립니다전염병 모형을 개발한다는 건 시간이나 환경에 따른 감염자 수의
변화
를 실제와 최대한 가깝게 보여주는 식을 만드는 것이다. 전염병 확산 모형을 연구하는 경희대 응용수학과 이선미 교수는 “시간별 실제 감염자 수 데이터에 잘 맞는 모형을 만들면 효과적인 대책을 세우는 데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수도 있게 됐어요. 여기엔 독일의 수학자 펠릭스 클라인의 도움이 컸어요. 클라인은 ‘
변화
를 거쳐도 그대로인 성질’이 기하학의 주인공이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림자를 비추거나 비틀어도 그대로 남아 있는 특징이 도형의 진짜 모습이라고 생각한거죠. 덕분에 전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할 수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균형이 성립되어 있는 셈이다. 한 남자는 아무
변화
도 시도하지 않는데 다른 남자가 어떤
변화
를 시도하면, 균형이 무너지고 여자의 마음이 반대쪽 사람에게 가게 돼서 게임에서 질 수 있다. 선물을 많이 주면 천박해 보일 수 있고, 너무 싸늘하게 대하면 어려운 사람으로 비칠 테니까.이렇게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수리생물학은 아직까진 미미한 수준이죠. 하지만 수학은 생물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 큰
변화
를 가져올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태계의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수학은 생물학의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에 깔려 있는 원리를 밝혀낼 겁니다. 대표적으로 뇌와 ... ...
EXO직캠 찍어볼까?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편집자 주과학동아의 외계행성탐사 중계는 계속됩니다. 여러 달에 걸쳐 광도
변화
를 측정 한 자료는 다음번에 발표할 계획입니다. 외계행성탐사 와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 는 분은 풍문여고 조용현 선생님(astrozoom@sen. go.kr)께 연락주세요. ...
냄새로 대화하는 여우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개발에 나서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 숲에 사는 우리가 갈 곳이 없어졌답니다. 기후
변화
때문에 가뭄이 예전보다 자주 와서 적응하지 못하는 동료들도 많고요.게다가 희귀하다는 이유로 우리를 잡아서 외국에 팔아버리는 사람도 많이 늘어났어요. 우리에 대한 관심이 멸종위기종인 우리를 보호하는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따라 직선에 가까운 곡선도 있다”며, “처마허리의 곡선은 유행을 따라 끊임없이
변화
해 왔다”고 말했다.주로 궁궐 같은 문화재로 한옥을 접한 우리는 곡선이 화려한 ‘팔작지붕’에 익숙하다. 하지만 조선시대 살림집은 대부분 ‘우진각지붕’이었다. 국가한옥센터 한옥기술개발연구단장을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