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무조건 이기는 방법이 없는 흥미로운 놀이다.다시 호박고누로 돌아가보자. 호박고누는 보통 규칙①과 ②만 적용해 실력을 겨룬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승부가 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이때는 여기에 규칙③을 도입한다. 그러면 두 사람 중 한 사람이라도 이기는 경우의 수를 다 알지 못하면 ...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약속을 어기면 곤란하다고.”“선장님, 질문 하나만 하죠. 선장님께서 습격한 배는 보통 어떤 배죠?”“그야 당연히 무역하는 상선이지. 군함을 습격하는 바보는 없으니까.”“그럼 그 배에는 어떤 물건들이 실려 있나요? 금? 은? 보석?”“대부분은 일반 무역품이지. 차, 융단, 상아….”그때 갑자기 ...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이 전략이 잘 먹히지 않아 밀리고 있다.김유신의 말 2개가 나는 데 필요한 칸 수는 11칸. 보통 주사위를 2번 던지면 날 수 있는 상황이다. 반면 계백의 말 4개가 나는 데 필요한 칸 수는 22칸이라 주사위를 4번 정도 던져야 날 수 있다. 게다가 김유신 차례다. “많이 논다고 잘 하는 건 아니지. 얼마나 ...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수학동아 l2011년 02호
- 개발자가 마음대로 기준을 정할 수 있기 때문에 퍼지집합을 비판하는 수학자들이 많다. 보통은 통계자료를 이용해 시작값이나 끝값, 중간값을 정한다.사람이니, 컴퓨터니?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을까.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은 “같은 질문을 컴퓨터와 사람에게 했을 때 사람과 비슷한 ... ...
- 300점 만점에 300점, 퍼펙트 볼링수학동아 l2011년 02호
- 구멍을 뚫는 일이다. 구멍은 엄지와 셋째, 넷째 손가락을 넣는 세 개의 구멍이 필요하다. 보통 볼링 공은 구멍이 3개지만, 선수들 공에는 구멍 하나를 더 뚫는다. 마지막 구멍은 공의 무게를 빼 공의 회전이나 속도를 조절한다.이와 같이 공에 구멍을 뚫는 일을 지공이라 하는데, 지공은 코어와 더불어 ... ...
- Part 2. 5년간 성장한 왓슨 vs 제퍼디 퀴즈 영웅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생각하고 나서 손이나 발로 표현하기까지 걸리는 반응시간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0.5~1초 정도가 걸린다. 즉 제닝스가 답을 찾은 뒤 버저를 누르기까지 적어도 0.5초가 걸린다. 하지만 왓슨은 이런 반응 시간이 없다. 버저를 울리겠다고 결정을 내리면 바로 버저가 울린다. 이 점은 왓슨에게 ... ...
- 금융전문가가 되는 길수학동아 l2011년 02호
- 회사의 주식이나 채권을 사도록 하거나, 기업이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방법 등이 있지요. 보통 일반기업은 투자자들을 모으거나 어떻게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하고 판매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주로 투자은행이라고 불리는 은행이나 증권회사에서 이러한 일을 대신 해준답니다.또 일반은행은 ... ...
- 수학 성취도, 수도권 저조하고 충청권 약진한 이유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방과 후 수학교실’을 운영하며 2009년 수학에서 14%나 차지했던 기초학력 학생을 모두 보통 이상의 성적으로 이끌었다. 5~6학년을 대상으로 한 주에 4시간씩 진행하면서 학생이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꾸준히 기록하면서 교육했으며,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재를 새로 개발했다. 또 ... ...
- [훈데르트바서展] 곡선과 나선으로 건축을 치료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목초지 아래 달려 있는 집’을 보면 켜켜이 쌓인 지층 아래 매달린 집이 그려져있다. 보통 보는 건물과 위아래가 뒤집힌 형태다. 집의 바닥이 아니라 옥상이 숲과 흙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이런 나선과 지층에 관한 그의 생각은 건축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훈데르트바서는 1997년 ...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수학동아 l2011년 02호
- 흔적과 (0,1)-패 턴의 관계성’이다. 어려워 보이는 주제지만 설명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보통 종이를 한 번 접었다 펼 때 남는 흔적을 수학으로 표현한 것뿐이기 때문이다. 종이 안쪽에 생긴 오목한 부분을 ‘골’이라 하고 숫자 0으로, 종이 바깥에 생긴 볼록한 부분을 ‘등성이’라 하고 숫자 1로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