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있는 띠는 사원에 있는 도자기 문양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도자기의 아랫부분 구름 문양을 좌우로 곧게 펴서 생각해보면 미끄럼반사가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➐ fgy : 평행이동과 미끄럼반사, y축 반사가 있는 띠x축, y축 반사가 있는 띠를 발견했던 차크리 마하 프라삿 입구의 난간장식에서 또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슈퍼컴퓨터를 만들 수 있나요? 김성현(대전 한밭초 6학년)A 슈퍼컴퓨터 제작사는 대부분 미국 기업이에요. 상위 500개의 슈퍼컴퓨터 중 85% 정도가 미국에서 만들어지죠. 이 밖에 프랑스, 일본 등도 슈퍼컴퓨터를 만듭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사 쓰죠. 2~3년 전까지만 해도 슈퍼컴퓨터를 직접 ... ...
- 거미 다리 보고 만든 진동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없는 특징이 있어요. 그중 가장 특별한 점은 거미줄을 만든다는 거예요. 배의 꽁지 부분 안쪽에 있는 실샘에서 거미줄을 뽑아내죠. 거미줄은 투명한 단백질인데, 명주실보다 5배나 강도가 세요. 그래서 우리가 거미줄로 집을 짓고 먹이를 사냥할 수 있는 거예요.거미는 어금니 같은 이빨이 없어서 ... ...
- [화보] 작은 겨울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눈 내리는 겨울이다.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세상에도 겨울이 찾아왔다. 현미경 렌즈를 들여다보니, 세포나 곤충의 표면 등 의외의 곳에서 겨울 풍경 ... 회 초중등부 바이오예술상)눈 덮인 산이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집파리의 날개 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했다. ... ...
- [수학뉴스] 우주의 시공간을 황금비율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그런데 이 나선이 황금나선★을 이룬다는 것이다.연구진은 이처럼 황금비율이 우주의 전 부분에 걸쳐 널리 나타나고 있는 만큼 실질적으로 시공간의 특성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잰 보이언스 박사는 “전 우주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황금비율은 프랙털(자기 유사성)의 성질과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이론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나 이론과는 다른 부분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기도 한다.쌍곡 기하학 평면 위의 이상적인 삼각형보통 우리가 평면이라고 알고 있는 것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말하는 평면이다. 이런 평면 위에서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다. 그러나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들러붙도록 하기 위해서지요. 일단 수컷 성기가 암컷 생식기 입구에 도달하면, 오로지 끝 부분만 암컷의 생식기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 작은 물고기들은 반드시 수컷과 암컷이 나란히 선 상태에서 교미했을 겁니다. L자 모양으로 생긴 수컷의 성기를 암컷의 생식기 속으로 삽입할 수 있는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뼈처럼 밀도가 높은 부분을 통과하는 엑스선은 많이 줄어들고, 근육처럼 밀도가 낮은 부분을 통과할 때는 적게 줄어드는 것이죠.최근에는 이뿐만 아니라 생명공학기술과 광학기술,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스마트 콘택트렌즈’와 같은 첨단 의료 기기도 개발 중입니다. 특수 개발된 렌즈를 대신 ...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일반상대성이론이 들어간다. 또 우주의 팽창과 암흑에너지, 블랙홀, 암흑물질 등 대부분의 천문학 이론들이 일반상대성이론이 성립한다는 전제 하에 만들어진 것이다.Q. 이론의 중요성을 일반인은 공감하기 어렵다상대성이론은 우리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내비게이션,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머리에 손을 접촉하는 순간 곧바로 경고가 떨어졌다. 안면보호구를 벗을 때도 편하게 목 부분을 잡고 벗는 게 아니라 정수리 쪽을 잡고 벗어야 했다. 보호복의 지퍼를 내리기 위해 지퍼 근처를 손으로 더듬는 행동도 금지사항이었다. 오죽하면 현장에서는 감독관이 의료진이 실수를 하지 않도록 주의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