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현재 세계 태양광발전 용량의 10배 이상을 얻을 수 있다”고 기대했다.조력발전으로
새
생명 얻는 시화호한때 죽은 호수로 불렸던 경기도 시화호에서는 최근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시화방조제에 25만4천kW급 조력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했다. 현재 가장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직녀성은「떨어지는 독수리」로서 부근의 별과 연결되어 날개를 포개고 하강하는
새
의 모양이다독수리자리의 1등성 알타이르의 바로 동쪽에 있는 별자리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는 적경 20h 10m~21h 05m, 적위 +2°~+21°에 연한다3개의 4등성과 1개의 5등성이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도 구축해야한다. 예기치 못하게 철
새
떼를 만나는 일이 없도록 철
새
들이 싫어하는 소리를 발생하는 음파 발생기도 챙길 것!배낭로켓은 이미 만들어졌다사실은 배낭로켓이 실제로 만들어진 적이 있으며 수많은 연구진들에 의해 교통수단이나 군사무기로 사용될 수 있도록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인간의 인지능력으로는 도저히 따라갈 수 없게 됐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새
술을
새
부대에 담아야 하듯 시대에 맞는 심리연구 방법이 나와야 한다는게 그의 생각이다.7월에 열린 한국실험심리학회 하계학술총회에서는 이 문제가 깊이 있게 논의됐다. 사이버 공간의 심리만을 주제로 학술대회가 ... ...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의미를 처리하는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사이버 세계에서 네티즌들의 대화 방식은
새
로운 문법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사이버 언어를 알아듣고 이해하는 것이 자연어를 사용하는 것 만큼 편해졌을 때 인터넷 언어는 완전히 독자적인 언어로 자리잡을 것이다.현재의 자연어를 좀더 ... ...
5. 검색능력이 경쟁력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기억 용량과 장기 저장에 필요한 주의 부족 때문에 생긴 문제다. 특히 정보는 많지만 짜임
새
가 허술한 경우 발생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사이버 시대 마음이 진화한다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2. 눈의 움직임이 마음의 비밀을 푼다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4. 사이버 ... ...
지름 35광년짜리 '슈퍼 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나온 강렬한 자외선이 깎아낸 모습이다.마치 손가락처럼 생긴 이 기둥들 안쪽에서는
새
로운 별이 태어나려고 꿈틀거리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우주의 거대한 알 속에 진짜 생명이 담겨 있는 건 아닐까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자기 둥지 앞에서 숨 거두는 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수컷 주위로 몰려든다. 아버지의 살을 파먹기 위해서다. 큰가시고기는 죽어서까지 몸을
새
끼들의 먹이로 내주는 것이다.4월말이나 5월초 강바닥에 수백개 이상의 잔자갈을 모으는 어름치는 일기예보를 한다. 어름치가 자갈 더미를 강 가장자리에 모으면 그 해는 비가 많이 오고, 강 한복판에 모으면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생쥐를 상대로 근육을 강화시키는 유전자를 주입한 결과 불과 이틀 만에 근육에서
새
로운 단백질이 생성됐다는 보고가 있다”며 “만일 올림픽 선수가 적혈구를 증가시켜 산소공급을 늘리거나 근력을 강화시키는 유전자를 투여한다면 현재의 도핑 검사로는 도저히 찾아낼 수 없을 것”이라고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시간이 소요될지 모른다. 또한 그의
새
이론이 틀릴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그의
새
로운 이론이 정보소실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지는 많은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아직 호킹 복사 증거도 못찾아 현재 많은 과학자들이 호킹 복사의 증거를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호킹의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