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13.4% 줄어들었다는 건 영구동토 속의 탄소 1400Pg이 대기 중으로 모두 나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140년에서 121년으로 줄어들었다는 뜻”이라고 심각성을 강조했지요 ... ...
- 미세먼지 감시하러 떠나는 ‘천리안 2B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있습니다. 언제나 우주에서 한반도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눈이 떠오른다. 2월 19일(한국시간) 남미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B호는 적도 상공 약 3만6000km 고도에 올라가 한반도를 내려다보며 한반도 주변의 대기와 해양을 관측한다. 천리안 2B호에 실린 환경탑재체는 ... ...
- 2020년 vs. 2030년 에너지 다이어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제품으로 교체한 적이 없는 우리 집의 대기전력은 총 100~120W 수준이다. 대기 상태로 1시간 있으면 100~120Wh(와트시)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셈이다. 이런 대기전력만 줄여도 매달 전기요금을 1만~2만 원 아낄 수 있다. 그간 나는 이런 대기전력에 얼마나 관심을 기울였던가. 취재와 실천의 불일치다. 순간 ...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빠른 스피드로 빙판을 박차고 올라 세 바퀴 반을 돈 뒤 착지해야 하는 기술이다. 체공시간을 충분히 벌고 정확한 도약을 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누비는 빙판의 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빠른 속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은 점프를 하기 전 순간속도를 시속 24km까지 ... ...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부착하는지가 퀀텀닷의 기능에 매우 중요하다”며 “리간드뿐만 아니라 온도와 반응시간 등을 세밀히 조절해야 원하는 크기, 원하는 수명의 퀀텀닷을 제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최근에는 기본 재료로 12족 원소와 16족 원소가 아닌 13족 원소(갈륨, 인듐 등)와 15족 원소(인, 비소 등)를 사용하는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KT, 한미약품 등 현재 100개 이상의 주요기업이 AI 면접을 도입했다. AI 면접이 채용 과정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한다는 사실이 알려질수록 AI 면접을 활용하는 기업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다. 그렇다면 AI 면접은 어떻게 하면 잘 볼 수 있을까? 기자는 면접이라는 말에 정장 재킷까지 챙겨갔지만 별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경고했던 ‘한러 두 나라 간 기술 규격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온몸으로 느끼는 시간이었다. 제작이 완료된 부품과 설비는 공장시험을 거친 뒤 울산에서 바지선에 실려 다음날 나로우주센터에 도착했다. 대형구조물인 발사패드를 4개의 블록으로 분리해 발사대 화염유도로 위에 설치하고 용접하는 ... ...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시작했죠. “3D 스캐너로 고분의 3D 정보를 모두 담으려면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최소 5시간에서 길면 며칠에 걸쳐서 기록을 하죠. 며칠씩 나눠서 촬영할 때, 제일 먼저 할 작업은 어제 작업을 완료한 위치를 찾는 겁니다. 옛날에는 다음 날 작업해야 하는 위치를 종이에 표시해놓거나 물건을 ... ...
-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 서울대 서인석 교수 인터뷰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답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는 문제를 성적이나 칭찬 같은 긍정적인 동기부여 없이 오랜 시간 풀어야 하는데, 좋아한다는 감정만 가지고는 하기 어렵거든요. 다른 일도 마찬가지겠지만 좋아하는 것은 기본이고, 스스로 동기부여 하면서 꾸준히 노력할 수 있는 일이라는 판단이 들면 그 길을 선택하라고 ... ...
- [동아리탐방] 미적분 공부하며 함께 성장한다, 경기북과학고 Limes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동아리원의 생각은 달랐다.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싶다는 2학년 박유진 학생은 “시간은 한정돼 있는데, 여러 활동을 하거나 다루는 주제가 많으면 각각은 얕을 수밖에 없다”며, “미적분만 깊게 파고드는 게 낫다고 생각해 들어왔다”고 밝혔다. 2학년 김지수, 박석현 학생은 어렸을 때부터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