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 코 흉내내는 '인공 코' 등장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부풀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기를 전도하는 속도가 변한다. 냄새가 단순한 전기적 신호로 바뀌는 것이다. 서로 다른 화학물질에 민감한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인공 코는 각각의 냄새에 대해 고유한 ‘냄새 자국’을 만든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기를 전도하는 플라스틱의 수가 많지 않아 감지할 수 ...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신경세포는 훌륭한 전도체가 아니지만 신경세포막 안팎의 이온의 흐름을 조절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정교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그림4).신경세포의 안팎은 세포막을 경계로 해서 생기는 나트륨(${Na}^{+}$), 칼륨(${K}^{+}$) 등의 이온 농도의 차이와 신경세포막이 지니는 특정 이온에 대한 선택적 ... ...
- 생물계의 공생전략과학동아 l1999년 03호
- 닫아버린다. 그런데 숙주와 세균 사이에는 서로를 알리고 알아내는 그들만이 아는 신호물질(주로 단백질이나 당 성분인 만노스다)이 있다. 이것을 정해진 식물에는 어떤 정해진 세균만이 들어가 사는 종 특이성(種 特異性)이라고 한다. 즉 식물에 따라서 공생하는 세균이 다 다르다는 것이다. 일단 ... ...
- 인터넷은 핵폭탄이 안겨준 선물?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여러 조각으로 나뉜 자료들을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하므로, 없어진 부분만 따로 신호를 보내 받으면 되는 것이다.지구 곳곳을 전산망을 통해 서로 맞물리게 해주는 인터넷. 이를 탄생시킨 혁신적인 개념이 가상 핵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궁리하다가 나왔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인터넷이 ... ...
-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실리콘칩의 기본요소인 다이오드의 특성과 일치한다. 이것은 전자의 흐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구분할 수 있는 스위칭 특성을 제공한다.빛이나 전기 같은 외부 자극을 이용해 단백질 복합체의 산화 - 환원 상태를 조절하고, 구분이 가능한 상태(현재의 메모리개념으로 설명하자면 on=1, off=0)를 ... ...
- 밀레니엄 버그 ABC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컴퓨터가 0을 무시하고 9999라는 값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면 컴퓨터는 9999라는 동작정지신호로 인식해 작동을 멈춘다. 올해 초 스웨덴 스톡홀름의 알란다 공항에서 일어난 여권발급 중지사태는 이러한 99버그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같은 시기 스웨덴에서는 컴퓨터 칩이 내장된 택시미터기가 연도를 ...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과학동아 l1999년 03호
- 두 곳의 정보 저장소를 만들어서 1 과 0을 표시하는 것이다. 회로 내에 갇힌 정보는 다른 신호가 들어올 때까지는 정보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전원이 없어도 정보의 저장이 가능하다. 단지 D램 보다 트랜지스터의 수가 세 개 더 많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해 값이 비싸고 기억 용량이 작다는 문제가 ... ...
- 스스로 자라는 똑똑한 플라스틱과학동아 l1999년 02호
- 수 있게 된 것이다. 빛은 전기에 비해 수천배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신호 대신 빛을 사용하게 되면 모뎀, 통신장비 등의 속도는 극적으로 증가한다. 이 외에도 응용범위는 광범위하다. 개선된 발광 다이오드, 빛의 조건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특수 페인트, 효율적인 플라스틱 레이저 ... ...
-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과학동아 l1999년 02호
- PET 필름 위에 2백nm의 얇은 전도성 고분자를 코팅해 박막을 만들었다. 그렇게 하면 전기신호에 따라 박막이 진동해 소리를 내는데, 이는 무기금속으로 만든 박막보다 만들기 쉽고 견디는 힘이 강했다. 특히 고음을 생생하게 재생한다고 한다.그러나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걸음마 ... ...
- 생활 속의 전자파과학동아 l1999년 02호
- 해롭지 않은가 - 암 등 질병을 유발한다는 연구 많아인체나 모든 생물체 내에서 생체 신호들은 전기적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전자기장을 수반한 전자파에 의해 인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전자파가 일으키는 해로운 작용도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