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문
일간지
뉴스페이퍼
뉴스
신문지
페이퍼
신아일보
d라이브러리
"
일보
"(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의 해외원조 열대 삼림 파괴에 기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미국에 앞서 이제 세계 최대의 원조국이 된 일본(올해에만도 1백40억달러, 미국은 90억 달러)은 미국이나 유럽선진국 또는 국제금융기구와는 달리 수혜국이 자금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까다로운 조건을 붙이지 않는다.그런데 이것이 지금 지구의 환경파괴에 기여하는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고 세 ... ...
과학위성 「까치」기본 규격 확정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94년 예정으로 되어 있는 우리나라 과학위성의 개발목표와 기본규격이 확정됐다.천문우주과학연구소 우주공학실에서 최근 과학기술처에 보고한 우리나라 과학위성의 개발목표는 오존층 및 대기탐사와 X레이 γ레이 무중력 연구 등.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1백50㎏의 탑재물을 싣고 고도1백~1백50㎞ ... ...
환경보호문제 중대 이슈로 등장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환경보호론자들과 일부 정치인들이 환경문제에 대해 거론을 해오기는 수십년이 되었지만 그것은 늘 정치이슈들 가운데 주변에 머물곤했다.그러나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 환경문제가 정치의 중앙부위에 떠오르고 있다.시사 주간지 뉴스위크는 유럽각국에서 환경문제는 주된 정치의제(mainstream ... ...
기적의 에너지 시대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국내 과학계가 핵융합으로 들썩이고 있다. 지난 3월23일 미국 '유타'대의 '폰스'교수와 영국 '사우스 햄프턴'대의 '플레이 시먼'교수가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핵융합실험을 성공했다고 발표한지 한달만에 국내에서도 이 실험을 재현했기 때문이다.한국과학기술원 윤경석박사팀과(제련전 ... ...
기초과학 육성 1백만명 서명운동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낙후된 기초과학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획기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과학기술인들의 목소리가 최근 높아지고 있다.지난달 11일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가 주최한 '기초과학활성화심포지움'에 참석한 4백여명의 과학기술계인사들은 기초과학 연구지원을 위해 정부가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하 ... ...
고대인의 이동항로를 재현한「콘치키」호의 모험(전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세계는 전쟁의 화염이 채 가시지도 않았고 폐허가 되어버린 유럽의 각 도시는 식량난과 불안, 공포, 등으로 모두가 엉망이 되어버린 생활을 꾸려나가고 있었다. 이 고통스럽던 시절, "토르헤이엘다르"라는 유달리 자연을 사랑하고 탐구력 강한 한 젊은이가 있었는데… ...
극한 상태에서 사는 생물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태양광선 온도 습도 등 생물이 사는데 필요한 조건을 완전히 무시한 상태에서 끈질기게 살아가는 독특한 생물들이 있다.우리나라에선 아직 상영되지 않았지만 미국과 유럽 등 여러나라에서 반응이 컸던 미국영화 '에이리언'에 등장하는 지구밖의 외계생물은 자체 종족보존을 위하여 존재하는 이른 ... ...
식사와 건강을 위한 보편적인 충고는 불가능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상구식식사요령'에 대한 찬반론이 무성하지만 선진국에서도 식사와 건강을 위한 충고의 적합성에 대한 논의가 대단하다. 그러나 결론은 어떤 보편적인 충고나 진리는 존재할 수 없으며 각개인의 특수한 조건에 맞는 건강요령을 각자가 알아서 실천 할수밖에 없다는것으로 ... ...
아마존일대의 방화로 생긴 거대한 연기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사진의 거대한 연기구름은 지난해 가을 미국의 디스커버리호 승무원이 찍은것. 이제껏 찍은것 가운데 가장 짙고 거대한 연기구름이다.이 연기의 규모는 텍사스주 넓이의 세배나 되었다. 브라질의 삼림소 유주들과 정부는 아마존 개발(댐과 도로건설, 벌목등)을 이유로 건조기에 일부러 방화, 이처 ... ...
AZT 단점 극복한 새AIDS치료제 개발했다고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캐나다의 '바이오켐'은 지난 2년간의 연구 끝에 AIDS치료제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약제의 이름(가칭)은 BCH-189와 BCH-203.합성된 핵산 유도체인 이 두 약은 시험관내(in-vitro)에서 AIDS바이러스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함이 밝혀지고 있다. 게다가 현재 유일하게 인정받고 있는 AIDS치료제인 AZT에 비해 독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