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d라이브러리
"
입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을 독으로 무장하는 새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상처를
입
었다. 그가 상처를
입
으로 빨자
입
속이 얼얼했다. 다시 이 새의 깃털을
입
에 대는 순간 혀가 마비되어 타는 듯한 느낌이었다. 현지인에게 이 새에 대해 들어보니 이곳에서는 옛부터 먹을 수 없는 새로 알려져 있다는 것이었다.연구그룹은 이 새를 잡아 깃털 살갗 근육 내장 등을 상세히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강한 SIV를 다시 정맥주사한 경우, 백신을 맞은 원숭이는 성공적으로 강력한 도전자의 침
입
을 방어하거나 혹은 감염되더라도 오랫동안 건강한 상태로 남아있음이 관찰되었다. 이 경우에도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보다는 감염된 세포에 타격을 가하는 세포성 면역이 방어에 더 기여한 것으로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가까이 접근하는 8월 12일 무렵, 지구와의 거리는 0.05AU에 불과하다. 때문에 무수한 먼지
입
자들이 지구로 끌려올 수밖에 없다.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모혜성의 근일점 통과를 전후하여 유성우가 활발해진다. 그 중에서도 근일점 통과 후, 혜성의 먼지꼬리가 뻗게되는 혜성의 뒤쪽편은 더욱 활발하다. ... ...
나에게 꼭 맞는 칫솔 치약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세균들의 균형을 깨버리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잇몸질환이 있거나
입
냄새가 많이 날 때 2주 정도 단기간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우리나라의 구강위생용품은 다른 나라에 비해 아직 많이 개발돼 있지 않은 상태다. 지금까지 뚜렷한 기준없이 개발되고 대중광고를 통해 일반인에게 소개돼 ... ...
3 멀티미디어와 PDA에 관심집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제공한다. 정보를 저장, 처리해주는 컴퓨터이지만 뉴턴은 사람이 직접 손으로 정보를
입
력하는 펜컴퓨팅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그렇지만 사용자들의 관심을 가장 끄는 부분은 역시 뉴턴의 뛰어난 통신기능이다. 한 손에 쥘 수 있을 만큼 크기가 작지만 다양한 통신기능까지 갖추고 있어 '언제 ... ...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않다. 동양에서는 그 약효를 실제로 믿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우황청심환의 원료로 수
입
되기도 했다.그러나 화학적으로 코뿔소의 뿔은 케라틴덩어리에 불과하다. 즉 소나 영양류의 발굽 발톱 뿔 등의 성분과 동일한 단백질로 구성돼 있다. 따라서 동양에서 믿고있는 것과 같은 약리작용(藥理作用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집적, 토양생물에 의한 토양층의 교란현상이 있다. 이러한 변환과 이동과정은 유출
입
되는 물질과 에너지의 특성, 즉 토양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요인에 의해 그 작용정도가 결정된다.토양화작용은 토양이 위치한 곳의 환경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수시로 변하는 환경요인과 평형을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러한 시스템은 개발에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정작 필요할 때는 고가로 외국의 것을 수
입
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한국의 기술력이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자동안내시스템의 개발을 서두르는 미래지향적인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경우 우주 나이는 2백억 년이 된다.호킹(Hawking)과 같은 대부분의 '관망파'들은 중도적인
입
징에서 H=75㎞/(초·Mpc)이라고 말한다. 호킹이 자기의 저서나 논문에서 우주의 나이가 1백50억년이라고 적고 있는 이유도 단지 이것이다. 우주론에서 나오는 수치들은 대개가 이만큼 부정확한 것들이다.1백억년 ... ...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집을 짓는 경우에 해당된다.메뚜기목의 여치과에 속하는 어리여치는 애벌레 시절부터
입
에서 토해낸 풀같은 액체로 넓은 잎을 서로 얽어붙여 천막같은 집을 만들고 낮에는 그 속에 숨어 지낸다. 이런 습관을 애벌레나 어른벌레 똑같이 갖고 있는데, 어리여치 또한 불완전 탈바꿈을 하는 곤충이다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