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핵인"(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과학동아 l1988년 02호
- 기형아출산, 악성종양, 변형된 식물…. 원자로에서 누출된 방사능은 생명체계에 시간이 흐를수록 깊은 상처를 남기고 있다. 체르노빌과 드리마일원자력 발전소 사고로인한 방사성 물질 확산은 지구상의 곳곳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이상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동물의 이상출산과 사산 폐사, 식물의 ... ...
- 가솔린 바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가솔린 바다를 찾는다고 상상해 보자! 실제로 그런것이 있을 수도 있다. 어느 두곳에 그것이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물론 지상에 있는것은 아니다. 태양계에는 7개의 큰 위성이 있는데, 달은 그중의 하나이다. 달은 아주 작은 데다가 (직경 2, 16마일) 중력이 너무 약해서 대기층을 가질 수 없다. 이것 ... ...
- 유도제어 우주비행의 핵심적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전자산업이 세계적 수준으로 발달한 우리나라에서는 우주과학기술중 어떤 분야보다도 유도제어기술의 전망은 매우 밝다. 인류가 우주공간에 쏘아올린 인공위성은 스스로 궤도를 유지하면서 주어진 임무를 완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유도제어 기술이 필수적. 아무리 뛰어난 발사체나 위성체를 ... ...
- 생명탄생의 대하 드라마 생명의 씨앗은 우주에서 날아왔다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전파천문학과 천체화학의 발달, 그리고 운석 분석기술의 향상은 생명의 시초가 우주에서 날아온 분자에 의해 이루어진것임이 확실해 졌다" 드라마는 약 46억년전에 시작되었다. 가스와 먼지로된 광대한 원시구름에서 지구와 태양, 그리고 태양계의 다른행성이 탄생했다. 최초의 5억년동안에 지구 ... ...
- 세계 최초의 미사일 박물관 은퇴한 무기의 거인 TATAN Ⅱ과학동아 l1988년 01호
- 타이탄Ⅱ라고 하면 얼마전까지 가장 강력한 미사일로 평가되었다. ICBM 으로 5천마일이상의 비행능력, 핵탄두적재, 시간당 1만5천마일 이상의 속력 그리고 정밀한 전자유도장치가 설치된 전략무기의 거인이었다. 타이탄Ⅱ는 NASA의 '세미니'계획에 동원, 위성발사를 담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행 ...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사람은 하루중의 약8시간을 잠이라는 무의식의 세계에서 보낸다. 이때 감싸주는 이불속에 미묘한 기상이 형성된다. 다음은 안락한 잠과 관련된 연구성과를 정리한 것. 지구 둘레는 대기가 둘러싸고 있다. 따뜻한 공기는 팽창하여 위로 올라간다. 차가운 공기는 밑으로 내려온다. 바람이 일어난다. ... ...
- INF만으로 히로시마 원폭 3만6천배 파괴력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지난해 12월 미·소정상회담에서 서명이 된 중거리핵무기(intermediate nuclear forces)의 핵탄두는 전체 핵탄두의 4%밖에 안되는 소량이다. 그러나 전략무기 제한협정등(1972)이 있었음에도 핵탄두는 계속 늘어나(미사일수는 줄였지만 탄두의 수에 대한 규정이 없었다는 것을 악용했음) 오늘날 핵무기는 단거 ... ...
- 가속기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88년 01호
- 포항공대의 제 3세대 방사광 가속기 설치를 계기로 가속기의 원리와 이용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최근 과학기술과 관련해 가속기라는 말이 자주 쓰이고 있다. 특히 본격적인 제3세대형의 방사광 가속기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포항공대에 건설될 예정이어서 관련산업기술의 발달도 주목 ...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과학동아 l1988년 01호
-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닉」이 띄워진 이래 세계 각국은 3천5백여개의 인공위성을 발사하였다. 인공위성이라는 것은 자연 또는 인공의 모체(母体) 주위를 추진 동력없이 계속 회전하는 인공물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모체의 인력(또는 중력)과 위성회전시에 생기는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게 ...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과학동아 l1988년 01호
- 과학자들은 80년전 중앙 시베리아에서 발생하였던 한 사건에 대해 여전히 미심쩍어 하고 있다. 그들은 아직도 이 지역을 조사하며 다니고 있고, 오늘날까지 그것에 관한 새로운 증거를 발굴하고 있다. 1908년 6월 30일, 퉁구스카강 근처에 있는, 중앙 시베리아의 하늘이 밝아지면서 무시무시한 폭발이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