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병
뉴스
"
중증
"(으)로 총 2,56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크레이지 캣 레이디
2019.09.28
미리 보기 ┃ 엡실론 4 유전자 건강한 사람의 뇌(왼쪽)과
중증
치매 환자의 뇌(오른쪽).
중증
치매 환자는 정상인과 비교해 그 크기가 눈에 띄게 작으며, 내측 측두엽의 위축이 두드러진다. 경희대병원 크레이지 캣 레이디가 조현병에 걸린 것인지 톡소포자충에 걸린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혹 ... ...
김연수 서울대병원장 "미래 40년
중증
·희귀·난치질환 집중"
연합뉴스
l
2019.09.24
4차병원·국가중앙병원 구축… 의료발전·미래위원회 운영 [서울대병원 제공] "단순히 1·2·3차 병원의 상위 개념이 아니라 진료, 교육, 연구 등에서 도약한 새로운 개념의 '4차 병원'으로 나아가겠다." 김연수 서울대병원장은 23일 서울대병원 본관 김종기홀에서 취임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 ...
[이정아의 닥터스] "가습기살균제 끝까지 추적해야 피해자 줄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알려진 사망자만 1400명이 넘는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해 사망하는 원인은 대부분
중증
폐섬유화증이다. 그런데 전수조사를 해보니 천식을 앓는 환자도 많았다. 석면 피해와 마찬가지로 피해자 구제가 필요했다. 폐질환 등이 발생한 원인이 정말 가습기 살균제 때문인지 따지고 증상의 ... ...
"전자담배 낮은 유해성, 소비자에게 알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CDC)의 자료를 근거로 들었다. 그는 “미국 CDC 발표에 따르면 궐련형 전자담배로 인한
중증
폐질환자가 증가 추세다”며 “그에 따라 미국 CDC는 안정성 서한을 발표하고 소비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 교수가 주장했던 ‘소비자의 알 권리’에 관해서도 “과학적 증거가 ... ...
"추석 전후 조심하세요"…가을철 유의해야 할 감염질환 톱3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김우주 교수는 "신증후군출혈열이 사람간 전염된 사례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지만
중증
환자에게 출혈이 있는 경우 접촉감염을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경기도형 닥터헬기 1호 이륙…24시간 항공의료시대 열다
연합뉴스
l
2019.08.30
해병대 전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어 "헬리콥터로 응급
중증
외상환자를 이송하는 것 자체도 대한민국에 없었던 패러다임인데 더 나아가 소방과 완전히 융합된 시스템이 구축됐다"며 "경기도가 대한민국 항공 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 ...
“소음 잠깐 참으면 한 생명 살려” 유영민 과기장관도 ‘소생 캠페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닥터헬기 운영을 늘리기 위해 시작된 캠페인이다. 유 장관은 영상에서 “닥터헬기는
중증
외상환자를 골든타임에 구하기 위한 하늘의 구급차지만 이착륙 때 발생하는 소음에 따른 민원으로 운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빨간 풍선을 터뜨렸다. 유 장관은 “닥터헬기 소음 크기는 약 115데시벨(dB)로 ... ...
국내 연구진 ‘살인진드기병’ 예방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고열이 3~10일 이어지고 혈소판 감소 및 백혈구 감소와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발생한다.
중증
으로 진행돼 사망에 이르는 사례도 있었다. 국내에서는 2013년 처음으로 살인진드기병 환자가 발생했다. 매년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진드기 접촉 최소화를 통한 예방 외에는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 ...
충북대 연구팀, 야생진드기 감염병 예방백신 개발 가시화
연합뉴스
l
2019.08.28
의과대학과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공동연구팀이 야생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중증
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 백신 개발을 가시화했다. 충북대 의과대학 최영기(왼쪽) 교수와 김영일 박사. 충북대는 27일 의과대학 최영기 교수와 카이스트 박수형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백신 기술을 이용, 31종의 ... ...
"건선 있으면 염증성 장질환 발생 위험 2배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8.14
위험도가 5.33으로 가장 높았다. 나이가 어릴수록 위험도가 큰 셈이다. 또한 건선의
중증
도가 높을수록 염증성 장질환이 발생할 위험도 함께 증가했다. 연구를 이끈 이진용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건선이 염증성 장질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