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스페셜
"
여러
"(으)로 총 2,98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동성애에 반대한다? 성적지향에 대한 진실과 오해
2017.04.26
이런 성정체성과 정신질환 간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성애와 동성애 모두
여러
문화권과 시대를 걸쳐 나타나는 인간의 정상적인 성적 행위다. 수십년간의 연구들 끝에 모든 공식 의학, 정신건강 기관들은 이들 성정체성이 정상적인 인간의 행위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따라서 병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_네이처] 반도체 기판 무한으로 재활용 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3
설명했다. 한 대의 프린터로
여러
개의 인쇄물을 찍어내듯, 기판 한 개를 이용해
여러
개의 전자회로를 찍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에 사용하던 기판은 전자회로와 서로 잘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1회용에 그쳤다. 기술의 핵심은 ‘꿈의 신소재’라는 별명을 가진 그래핀에 있다. 그래핀은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놔도 유독 ‘화난’ 표정 같은 부정적 신호를 빨리 잘 찾아내는 경향이 나타난다. 또한
여러
가지 좋은 말들과 평범한 말들 속에서 ‘욕’ 같은 부정적 언어를 유독 잘 찾아내는 경향이 나타난다. ‘행복한 가정들은 비슷비슷하게 행복하지만 불행한 가정들은 서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불행하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규모 7.8 지진으로 뉴질랜드 南-北섬 5m 가까워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단층이 동시에 흔들리면 지진의 피해는 현재 예측보다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여러
단층이 동시에 관여해 지진이 일어나는 시간이 길어지면 장시간 진동에 취약한 긴 교량과 고층 건물의 위험성은 더 커진다. 가령 서로 떨어진 단층끼리 에너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새로운 모델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피부에서 이런 고유의 무늬가 나타나는 현상을 수학적,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여러
가설과 이론이 등장했습니다. 가장 먼저 이런 수리생물학 분야에 논문을 발표한 사람은 영국의 천재 수학자 앨런 튜링입니다. 물론 튜링은 튜링 기계, 튜링 테스트, 자동연산장치(일명 에이스) 고안, 암호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
2017.04.16
이것도 아니요. 내가 입을 벌리고 수영하던 강에 똥을 샀을 때? 아니요. 심하게 아파서
여러
달 몸져누웠어야 했을 때? 아니요. 그러면 하키 게임에 출전해서 좋아하는 여성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이상한 소리를 내며 넘어지고 어찌저찌 우리 골대에 자살골을 넣었을 때? 이것도 아니에요. 이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말이다. 나이가 들수록 낮잠을 자는 비율이 높아지는 이유다. 한편 나이가 들수록 뇌의
여러
곳에 분포하는 아데노신 A1 수용체의 밀도가 낮아지는 것도 주목할 현상이다. 각종 생화학반응의 대사산물인 아데노신(adenosine)은 뇌에서 신경조절물질로 작용해 농도가 올라가면 뉴런을 둔하게 만들어 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거의 없었다. 그 결과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미생물들만이 번성하고 있었다. 그런데
여러
지질학 증거에 따르면 23억 년 전을 전후해 대기 중 산소의 농도가 눈에 띠게 늘어나 현재의 5~18% 수준이 됐고 이렇게 10억 년 이상을 보내다가 약 8억 년 전부터 산소 농도가 높아지기 시작해 대략 6억 년 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그런데 그 순간 정말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필자는 그 뒤 동기 친구와 이때 상황을
여러
번 회상했는데 그때마다 과연 그게 실제 일어난 일인지 의심이 들 정도였다. 우리가 불을 끈다고 절망적으로 몸부림치고 있을 때 어디선가 아저씨 몇 명이 달려온 것이다. 그리고 얼마 뒤 불은 진압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내분비기관으로서 뼈를 재조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지방세포가 렙틴을 비롯해
여러
호르몬을 분비한다는 게 밝혀지면서 지방이 단순히 저장기관이 아니라 내분비기관이기도 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듯이 최근 뼈에서도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과 FGF23 같은 호르몬을 분비한다는 게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