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사탐 대장님이 상 받으셨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노래를 부른다는 사실을 알아낸 공로로 상을 수상했답니다. 장
교수
님은 “어과동과 함께 연구를 진행한 덕분에 좋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0℃에서 영하 50℃ 사이에서는 얼음 표면이 항상 물로 덮여 있다. 강헌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
는 “대부분의 물질은 고체가 녹는 온도에 다다르기 전부터 표면이 액체의 성질을 띠기 시작한다”고 설명했다.큰 눈덩이 위에 작은 눈덩이를 쌓으면 단단한 눈사람이 만들어지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 ...
지구사랑탐사대 두 번째 뉴스레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되기 전, 굼벵이 시기에도 허물을 여러 번 벗지요.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
님과 함께 매미 탐사를 나왔던 친구들은 기대하지 않았던 광경을 목격하고 큰 감동을 받았어요. 휴대전화로 사진과 동영상을 찍으면서 열심히 관찰했답니다 ... ...
지구사랑탐사대 첫 번째 뉴스레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5
광주를 시작으로 지역별 현장교육을 다니고 있어요.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
님과 연구진이 전국 방방곡곡으로 찾아다니며 매미탐사 방법을 알려드려요. 대학교 수준의 깊이 있는 생태 교육은 덤이랍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맛보기!올 여름 매미탐사 현장교육에 함께 해 보고 싶은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5
또 선풍기는 산소를 직접 쓰는 기계가 아니라 저산소증도 올 수도 없지요."이윤성
교수
(서울대학교 법의학연구소)엄마의 분석 3 저체온증을 일으킨다?사람의 정상 체온은 36.5℃, 몸의 중심부 체온은 37.5℃다. 저체온증은 몸의 중심부 체온이 35℃ 미만으로 내려간 상태를 말한다. 저체온증에 걸리면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4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만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
는 ‘알면 사랑한다’는 말을 즐겨 쓴다고 해요. 곤충이 내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한 번이라도 눈을 맞춰 본 친구들은 ‘벌레’라고 더럽게 여기거나 함부로 죽이지 않는답니다.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 ...
빨간 박테리아 줄까, 파란 박테리아 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4
크게 바뀔 수 있을 정도라고요.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의 페란 가르시아-피첼
교수
연구팀이 이곳 사막을 조사해 알아낸 사실이지요. 지난 6월 28일자 ‘사이언스’지에 붉고 푸르게 색을 입힌 우리 사진이 실리기도 했답니다.다만 바기나투스는 온도가 낮은 곳, 스텐스트로피트는 온도가 높은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3D프린터는 3차 산업혁명의 주인공입니다. 제레미 리프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교수
3D프린터는 모든 것을 만들 잠재력이 있어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인터넷 쇼핑, 이젠 배송이 필요 없다!인터넷에서 예쁜 병아리 모양의 달걀 받침대 발견! 클릭클릭해서 바로 주문합니다. 그런데 놀라운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생기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답니다." -용태순(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생물학교실
교수
) 빨간 피를 좋아하는 친구들 이제 내가 왜 ‘살인진드기’가 아닌지 알았겠지? 우린 풀숲에 살고 있던 야생진드기들 중 한 종류일 뿐이라고!그런데 살인진드기로 오해 받아서 억울한 친구들이 또 있어. ... ...
쉿…! 배아 세포가 자라고 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조직으로 자라는 시간이나 크기가 제각각이라 관찰하기가 굉장히 어려웠지요.켈러
교수
의 새 기술을 이용하면 배아 세포가 조직으로 자라는 시간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과정을 계속 관찰할 수 있어요. 세포의 깊은 곳까지도 볼 수 있지요. 연구가 계속 이어지면 지금껏 감춰져 있던 생명의 새로운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