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2,906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스크와 파일의 중개인 디렉토리
과학동아
l
199302
만약 한 개의 파일이라도 지우고자 하는 디렉토리 안에 들어 있다면 그 디렉토리는 지워
지지
않는다. 또 RD 명령어를 사용하면서 범하기 쉬운 실수는 어떤 디렉토리를 지우기 위해서는 그 디렉토리의 상위디렉토리에서 RD 명령을 내려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도 집을 부수려는 사람이 그 안에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
과학동아
l
199302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아인슈타인은 이 확률론적 해석에 대하여 "신은 주사위를 던
지지
않는다"는 말로 반박했다. 그러나 곧 많은 과학자들이 이 이론을 받아들이게 되었다.20세기 초반의 이러한 사건들을 거쳐 현대물리학이 자라나게 되었다. 때로는 기존 이론에 정면으로 거역하는, 따라서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02
배 이상은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그 이상은 과잉배율이 되어 상이 어둡고 핀트조차 맞춰
지지
않아 흐려지며, 시야는 좁아지게 돼 보기에도 불편해진다.이상으로 집광력과 분해능, 최고·최저배율에 관해 알아보았다.정해진 능력 이상의 높은 배율로 관측한다고 해서 더 잘 보이지는 않는다. 특히 ... ...
생산·연구현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펴야
과학동아
l
199302
걸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기대에 상응하는
지지
도 보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지지
만큼이나 새 정부가 앞으로 해결하고 대처해야 할 나라 안팎의 도전도 만만치 않다. 국민들은 새 정부가 해야 할 많은 일 중에서도 경제문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으며, 경제 문제를 해결함에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02
밝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서재나 도서관같이 책에 신경이 집중되는 곳은 산만해
지지
않도록 고동색같은 짙은 색을 쓰는 것이 좋다.낮은 천장에 차가운 색을 칠하면 색채의 원근심리 효과에 의해 높아 보인다.전차나 자동차의 바깥 부분에 따뜻한 색을 쓰면 눈에 잘 띌 뿐만 아니라 차가 크고 ... ...
소아 당뇨병과 우유는 어떤 관계인가
과학동아
l
199301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이다.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그 원인은 아직 명쾌하게 밝혀
지지
않았다. 보통 4명 중 한사람은 하나 정도의 당뇨병 유발인자를 갖고 있지만, 실제로 발병하는 율은 유발인자를 갖고 있는 사람의 1% 이하다.역학 및 임상 자료에 따르면 많은 나라에서 우유의 1인당 소비량과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01
이 종전챔피언의 외경은 1㎜. 그러나 필립교수의 사망으로 더 이상의 축소화는 이뤄
지지
않았다.도시바 연구팀이 내놓은 새 모터는 무게가 4㎎이고 1.7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모터를 제작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은 작은 코일에 전선을 감는 일이었다고 한다. 도시바의 모터에는 3개의 ... ...
바닷물은 CO₂를 얼마나 처리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01
때문에 이산화탄소 흡수가 더디다. 얼마만큼의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지는 정확히 밝혀
지지
않고 있다.현재 해수중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양은 8억~16억t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1년에 지구 대기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양은 60억t. 이들 수치를 감안한다면 바닷물에 크게 기대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 ...
5 문명과 흙
과학동아
l
199301
정도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말로 국토사랑을 호소하고 있다. 흙은 생태계를
지지
하는 기반이며, 흙과 생물의 10대 구성성분은 서로 일치하고 있다.인류의 생존과 문명활동에 필요한 식량과 자연재화는 대부분 토양에서 공급된다. 역사는 인류와 토양 사이에서 전개되어온 상호관계라고 할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12
성공을 거둬 우량한 가축을 번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농가에의 분양사육은 이뤄
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기술의 기초단계인 인공수정 기술을 실용화하고 있으며 수정란의 분할 이식 등을 연구하고 있다.농업생산은 토지를 이용한 작물재배가 전제돼야 할 뿐아니라 최종 이익이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