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 밝혀진 파스퇴르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이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파스퇴르는 세계 최초로 실험단계의 백신을 시험해보자는
공개
도전을 충동적으로 받아들였다. 파스퇴르의 조수는 양 25마리에게 그의 처방을 주사하고 다른 25마리에게는 아무 처치도 하지 않았다. 그후 50마리 모두에게 독성이 있는 탄저병 세균을 주사하자 결과는 그의 ... ...
2. 웹 사용하면 '정보 탐험길'이 쉽게 뚫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구하는 방법은 넥스텔의 경우 가입과 함께 제공되며, 나우콤과 포스서브는 각각
공개
자료실에서 구할 수 있다.설치를 위해서는 위의 2개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받아 일정한 디렉토리에 저장해두고 다음의 지시에 따라 설정한다. 물론 설치요령을 설명하기 이전에 기본적으로 사용자는 모뎀과 ... ...
밤하늘의 보석상자 궁수자리 은하수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조금 분해되어 보인다.얼마전 허블우주망원경(HST)에서 촬영한 베스타(Vesta)의 모습이
공개
되었다. 베스타는 소행성 가운데 가장 크지만 감자처럼 납작했고, 인공위성이 찍은 천체라기보다 현미경으로 확대한 곤충의 알처럼 보였다. 하지만 B612는 너무 작아서 HST에는 결코 찍히지 않을 것이다. 눈을 ... ...
3 사용자·제작자 만족 최선책은 셰어웨어 활성화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필자가 법률 전문가가 아니므로 확실히 단정짓기는 곤란하지만, 셰어웨어나 프리웨어 등
공개
소프트웨어의 범주에 속하는 프로그램들은 저작자의 권리 가운데 일부를 양도 또는 포기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물론 프로그램마다 저작권 적용 범위가 조금씩 다르므로 셰어웨어나 프리웨어 ... ...
1 제품고르기 전 반드시 A/S·매뉴얼 확인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것이다.이러한 면에서 하이텔이나 천리안 등의
공개
자료실을 통해 무수히 올라오는
공개
프로그램들은 사용자들의 충실한 품평회를 거쳐 버전업되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맹아적인 민주주의라 할 만하다. 개발과정에서부터 사용자를 주인으로 생각하는 마인드야 말로 '소프트웨어 민주화'를 이루는 ... ...
인터네트로 떠나는 우주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역시 사진의 원천은 인터네트가 그 출처다. 인터네트를 통해
공개
된 그래픽 파일을 미국의 컴퓨서브 사가 최초로 서비스했고, 다시 우리 나라의 에이텔 포스서브를 통해 도입된 것이다. 물론 발빠른 사용자들 중에는 이미 그 전부터 사진을 받아본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 ...
지프네트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선별해서 올린 것들도 포함돼 있다. 그리고 사용평가와 개괄적인 소개가 첨부된
공개
소프트웨어 카탈로그도 있다. 현재 국내 PC통신자료실의 상당수는 이곳 지프네트의 소프트웨어자료실(SOFTLIB)이나 포럼자료실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다.지프네트는 20여개 이상의 컴퓨터관련 포럼을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사적으로는 평균이하(?)였던 아인슈타인의 삶이 집요한 추적자들에 의해 밝혀지고
공개
됐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인슈타인의 사생활' (동아일보사 출판부 간)이라는 책에 실려 있다.20세기의 가장 위대한 과학자! 인류 역사상 최고의 천재! 평화운동과 인권운동에 헌신한 세속화 시대의 성자! ... ...
1 유전자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구독료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연구기관들은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유전정보
공개
를 보류하고 있다. 독자적으로 유전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사용료를 지출하는 것보다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그 결과 게놈연구에 참여하지 못한 후발국 연구자들만 발을 동동 구르는 상황에 이르렀다. ... ...
5 선진국 독무대-국내연구진 뒤늦은 출발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되는 3만5천개 정도를 동정했다고 발표하고 있다. 이들 염기서열에 대한 정보는 전혀
공개
되지 않고 있다.국내에서의 연구도 인체 유전자 중 기능을 지닌 유전자를 확보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는 데서 출발했다. 신기능을 가진 유전자 중 일차적으로 사람의 면역기능과 깊은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