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치맥 했구나?’ 식단 감시하는 목걸이 탄생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음식물 섭취를 알아낼 수 있는 목걸이형 장비 ‘웨어센서’를 지난 2월 미국전기전자공학
연구소
(IEEE)의 ‘센서저널’에 발표했다.웨어센스에는 고감도의 압전 센서가 장착됐다. 센서는 음식을 삼킬 때 목과 가슴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해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전송한다. 스마트폰은 이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밝혔다. 봄의 ‘온기’로 개화 시간 안다이 모형은 10여 년 전 이탈리아 생물기상
연구소
(IBIMET)가 개발했다. 온대수목의 꽃눈 분화 · 휴면 · 발아 · 개화 등에 이르는 전 과정을 시간과 온도 개념을 붙인 ‘냉각량’과 ‘가온량’으로 표현한다. 개나리나 벚꽃처럼 봄에 꽃을 피우는 식물들은 전 해 ... ...
[Knowledge] 한반도 고래 혼획 보고서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혼획을 가장한 불법 포경은 바다생태계를 위협하는 큰 요인이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
연구소
는 2011년부터 ‘고래자원의 보존과 관리에 관한 고시’를 시행해 불법 포획을 단속하고 혼획량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이런 혼획량을 조사하는 국가는 현재 한국과 일본뿐이어서 전 세계적으로 혼획되는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워크숍에 참석한 사이먼 음두마 탄자니아 야생동물
연구소
장은 “지난 2년 동안
연구소
재은행과 함께 일하며 야생동물뿐 아니라 동물에 붙어사는 기생충과 세균 등도 모두 보존해야 한다는 사실을 새로 알게 됐다”며 “앞으로 현지에서 직접 샘플을 채취해 한국으로 보내는 작업을 확대할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8개월 만에 3cm 기울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난리가 났었지요. 하지만 국립문화재
연구소
에겐 이미 10년 전부터 해온 기울기 측정 자료가 있었습니다. 그에 따르면 첨성대는 기울어 있긴 했지만 진남관처럼 변형이 진행되는 경우는 아니었습니다. 안전에 큰 문제가 없는 경우였지요. 물론 문화재청은 ... ...
[수학뉴스] 여성 수학자가 부족한 이유는 선생님 때문?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과학에 흥미를 잃게 하고, 진로 선택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 국민경제
연구소
’ 1월호’에 실렸습니다.영국 워릭대와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공동연구팀은 텔아비브의 초등학생들에게 두 종류의 수학 시험을 치르게 했습니다. 그리고 채점을 학생들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 ...
[수학뉴스] 막대 사탕, 2500번을 핥아야 다 먹는다!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핥아먹기만 한다면, 얼마나 많이 핥아야 다 먹을 수 있을까요?최근 뉴욕대 쿠란 수리과학
연구소
와 플로리다주립대 공동연구팀은 흐르는 물 속에서 막대 사탕이 녹는 과정을 관찰한 결과를 ‘유체역학 저널’ 2월호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막대 사탕을 수로에 넣고 사탕 위쪽으로 물을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이 호수에 보물이 숨어 있는 것은 아닐까요?동굴 생물의 먹이는 ‘똥’국제생물종탐사
연구소
에서는 매년 발견되는 신종 생물 중 가장 특이하고 흥미로운 종을 10가지를 골라 발표해요. 지난해에는 동굴에서 사는 동물이 두 종이나 포함됐어요. 그 주인공은 ‘해골새우’와, ‘돔 모양 ... ...
[과학뉴스] 1주일 만에 환자맞춤형 신경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만드는 데 성공했다. 강경선 서울대 수의대 교수와 강스템바이오텍 줄기세포·재생의학
연구소
는 ‘셀 리포트(Cell Reports)’ 1월 15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HMGA2와 SOX2 유전자를 환자 체세포에 넣어 1~2주 만에 신경줄기세포를 만들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차세대 줄기세포 제작기술인 ... ...
[과학뉴스] 다중성계 형성 초기, 첫 포착!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다중성계가 형성되는 초기의 모습이 처음으로 포착됐다.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천문학
연구소
하이메 피네다 박사팀은 27개의 우주전파망원경을 모은 집단 전파망원경 시스템 ‘장기선 간섭계(VLA)’ 등 미국에 있는 세계 최대 망원경을 이용해 페르세우스 별자리 주변을 관측했다. 그곳에서 2000~400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